경제
[단독] 통계청 가격조사원도 구경 못하는 공적마스크
입력 2020-03-03 10:07  | 수정 2020-03-03 15:41
마스크 구매행렬

정부가 마스크를 싼 값에 공급하기 위해 전체 생산량의 50% 가량을 걷어가 '공적마스크'를 판매하고 있지만, 실제 이를 구매할 수 있는 약국 비율은 7%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통계청 관계자는 "통계청 소비자물가동향 조사의 일환으로 매일 전국 150개 약국에서 마스크 가격을 조사하고 있는데, 공적마스크를 구매할 수 있던 곳은 12개 수준이었다"라고 전했다.
통계청의 소비자물가동향은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물가를 조사하기 위해 조사대상을 지역별, 도심·지방별로 안배한다. 따라서 통계청 조사원들이 몇개의 약국에서 공적마스크 가격을 조사했는지에 따라, 전국 소비자들이 실제로 공적마스크를 얼마나 접할 수 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조사원들이 실제 약국을 방문해 그 자리에서 살 수 있는 마스크의 가격을 조사하는 것이 소비자물가동향 조사의 목적"이라며 "공적마스크가 마스크 물가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대상 중 몇개인지를 알아봤는데, 150개 가운데 12개에 그쳐 직접적인 가격하락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다만 공적마스크 공급 이후 민간공급 마스크의 가격도 소폭 하락세로 전환했다.

공적마스크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온라인쇼핑 마스크가격 역시 하락세를 기록했다. 온라인쇼핑 마스크는 원래 개당 800원선에서 거래됐지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마스크 수요가 늘고 소비자들이 외출도 꺼리면서 오프라인보다 비싼 4000원대까지 가격이 급등한 상태였다.
마스크는 본래 소비자물가동향의 조사품목이 아니어서 구체적 수치가 공표되지는 않는다. 다만 미세먼지·황사 등으로 수요가 늘어 예비조사품목에 담겨 조사가 이뤄지고 있었고, 코로나19 사태로 수요가 폭증하며 관계부처의 요청으로 2월6일부터 통계청이 자료를 제공하는 중이다.
[문재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