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이젠 '완치환자 조기퇴원·경증환자 자택격리' 고민해봐야"
입력 2020-02-28 07:27  | 수정 2020-03-06 08:05

증상이 소멸한 완치 단계 환자를 조기에 퇴원시키고, 경증환자는 자가격리치료 방향으로 방역 대책을 시급히 전환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병실 순환율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방역당국은 어제(27일) 밤늦게까지 전문가 회의를 열어 이런 안건을 논의했으나 최종 결정을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현재 코로나19 환자 격리해제 지침은 증상이 없어진 뒤 24시간 간격으로 시행한 두차례의 검사에서 모두 음성으로 나와야 가능합니다.

격리해제가 이뤄진다고 해도 바로 퇴원하는 건 아닙니다. 퇴원 여부에 대한 의료진의 추가적인 판단을 한 번 더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다 보니 코로나19 환자가 퇴원하기까지는 평균 3주나 걸린다는 게 의료계의 분석입니다.


다수의 코로나19 환자를 치료 중인 김남중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금은 환자의 증상이 없어졌어도 5년 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당시의 완치 기준을 준용하느라 퇴원시킬 수가 없다"면서 "지역사회에서 환자 수가 급증하는 추세를 고려한다면 증상이 사라진 환자를 다른 병실에 입원시키거나 자가격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원 운영센터장(서울의대 감염내과 교수) 역시 같은 입장입니다.

방 센터장은 "지금까지는 아주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환자를 퇴원시켰지만, 이제는 (환자가) 호전되는 게 확인된다면 조금 빨리 퇴원시켜 자가격리 등 조치를 취하고, 이 환자보다 더 급한 환자를 입원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방침을 전환해야 할 때"라고 말했습니다.

경증환자에 대해서는 자가격리치료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아울러 중증환자의 사망 위험을 줄이려면 전국을 하나로 묶는 중증환자 치료시스템을 강구해야 한다는 제안도 힘을 얻고 있습니다.

김남중 교수는 "현재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증환자 발생이 많은데도 치료가 여의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중환자를 치료하려면 감염, 호흡기, 증환자 전문 의료진의 협진이 필요한 만큼 대구·경북 지역에서 중환자가 발생했더라도 중증환자 치료가 가능한 전국 각지의 병원으로 옮길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권고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