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부 "입국제한 확대 없다…지역사회 전파피해 완화가 더 적합"
입력 2020-02-27 15:51  | 수정 2020-03-05 16:05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입국제한 조치를 확대하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지역사회 중심으로 늘고 있는 만큼 피해 완화에 집중한다는 전략입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오늘(27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특별한 상황 변화라는 명백한 근거가 있다면 다른 조치를 검토할 수 있으나 최근 확진자 발생 상황을 보면 지역사회 전파가 그 원인"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현재 정부는 중국 후베이성에서 온 사람의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 또 중국과 홍콩, 마카오에서 들어오는 내·외국인은 국내 연락처가 확인되지 않으면 입국을 금지하는 '특별입국절차'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김 총괄조정관은 "(입국제한 실시) 당시에는 후베이성의 집중적 발생으로 위험성이 현저히 높다고 판단해 후베이성으로부터의 입국을 전면 제한한 것"이라며 "최근에는 외부 유입으로부터 감염이 확산하는 근거를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특히 중국에서는 대체로 발생 추이가 안정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내외 상황을 종합했을 때 추가 차단조치를 통한 (외부) 유입 요인을 줄이는 것보다는 지역사회 전파로 인한 피해를 완화하는 전략이 보다 적합하다고 판단한다"고 덧붙였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