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국토부, 분양가 산정 기준 개선…기본형건축비 내려갈 듯
입력 2020-02-27 15:30  | 수정 2020-03-05 16:05
국토교통부가 분양가 상한제 대상 아파트에 적용하는 분양가 산정 기준을 전반적으로 개선했습니다.

이를 통해 기본형건축비에 일괄적으로 적용됐던 일부 공사비가 가산비로 전환돼 분양가격이 일부 내려가게 됐습니다.

국토교통부는 분양가 상한제 대상 아파트의 분양가 책정 기준을 개선했다고 오늘(27일) 밝혔습니다.

분양가 상한제 지역에서는 분양가가 택지비와 기본형건축비, 가산비를 합한 금액 이하로 정해집니다.


우선 기본형건축비에 일률적으로 반영됐던 기초파일공사비(파일길이 15m·지름 400㎜ 이하)를 가산비로 전환했습니다.

기반이 단단하지 않은 곳에는 파일을 박고 그 위에 건물을 올리는데, 기반에 암석 등이 있으면 파일공사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건물 지반에 암석이 있는 아파트에서는 기본형건축비가 내려가게 됩니다.


기본형건축비에서 인센티브 성격으로 부여되는 주택성능 등급 가산비와 일부 겹치는 부분도 제외했습니다.

표준품셈과 노무·자재비 등 공사비 산정 기준 시점도 일괄되게 통일했습니다.

이에 따라 3월 1일 고시 분은 전년도 12월 말, 9월 15일 고시분은 해당 연도 6월 말을 기준으로 하게 됐습니다.

기본형건축비 상한액을 정하는 표본사업 모델이 기존 수도권 1개 지역에서 수도권 2곳과 지방 2곳 등 4곳으로 확대됩니다. 기본형건축비 산정의 대표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에 따라 3월 1일부터 적용되는 기본형건축비 상한액이 2.69% 인하됐습니다.

공급면적(3.3㎡)당 건축비 상한액은 작년 9월 15일 651만1천원에서 633만6천원으로 내립니다. 개정된 고시는 3월 1일 이후 입주자 모집 승인을 신청하는 단지부터 적용됩니다.

이와 함께 기본형건축비의 고층건물용 상한액 기준이 신설됐습니다.

현행 기본형건축비의 최고층수는 '36층 이상'으로 돼 있으나 주상복합 등 41층 이상 고층 주택에 적용할 수 있도록 41∼49층 기본형건축비 상한액이 만들어졌습니다.


일부 가산비는 늘어납니다.

'벽식 혼합 무량판 구조'에 대해선 3%의 가산비율이 적용됩니다.

이 구조는 기둥을 세워 건물 하중을 견디는 방식으로 비내력벽을 설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에 좋아 최근 많이 보급되고 있습니다.

국토부는 주택성능 등급 평가항목과 겹치는 다른 가산비 항목은 최소화했습니다.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주택이나 초고층주택 등에 대해 적용되는 가산비는 일관성 있게 심사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심사기준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옵션으로 제공되는 발코니 확장 비용도 일부 인하될 전망입니다.

국토부는 발코니 확장 전후 비교를 거실과 주방, 침실 등 확장부위별로 나눠서 하도록 '발코니 확장비 심사참고 기준'을 개선했습니다.

또 일부 확장된 발코니에 설치되는 붙박이장은 발코니 확장에 포함시키지 않고 별도 옵션으로 하도록 했습니다.

이에 따라 발코니 확장비가 15~30% 수준 하락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정된 기준은 2020년 3월 1일 이후 입주자 모집 승인을 신청하는 분부터 적용됩니다.

이번 분양가 산정기준 개정은 감사원의 지적에 따른 것입니다.

감사원은 국토부가 고시한 아파트 분양가 상한금액 산출 기준인 건축비가 기준에 따라 정확하게 산정되지 않았다며 시정을 권고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