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현대·벤츠·BMW 등 5개사 1만2463대 리콜…ISG·세스펜션 불량
입력 2020-02-27 09:12 
이번에 제작결함이 발견돼 리콜에 들어가는 (왼쪽부터) GV80, 벤츠 AMG S 63 4MATIC+, GLE 450 4MATIC [사진 = 국토교통부]

현대자동차,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비엠더블유코리아,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한불모터스 5개사에서 제작·수입 판매한 총 26개 차종 1만2463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간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현대차의 GV80 823대에선 Stop&Go 장치(ISG)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변속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ISG(Idle Stop&Go)는 브레이크를 밟아 멈추면 자동으로 시동이 꺼지고,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거나 가속페달을 밟으면 다시 시동이 걸리는 연비 향상 장치다.
현대차는 이날부터 리콜 대상 차량에 대한 직영서비스 및 블루핸즈에서 무상으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이번에 제작결함이 발견돼 리콜에 들어가는 (왼쪽부터) 벤츠 AMG GT 63 S 4MATIC+, AMG C 63 S, BMW 118d [사진 = 국토교통부]
벤츠 AMG E 63 4MATIC+ Long 등 12개 차종 441대는 ▲AMG S 63 4MATIC+ Long 등 6개 차종 433대 터보차저 오일 공급 호스 재질 결함 ▲GLE 400 d 4MATIC 등 2개 차종 4대(미판매) 3열 좌석 머리지지대 조정·고정 불량 ▲AMG GT 63 4MATIC+ 등 2개 차종 2대 자동변속기 배선을 고정하는 클립 장착 위치 불량 ▲AMG C 63 등 2개 차종 2대 서스펜션 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오류 4가지 이유로 리콜을 실시한다. 서스펜션은 노면의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다.
AMG E 63 4MATIC+ Long 등 6개 차종 433대는 오는 28일부터, 나머지 차량은 지난 19일부터 전국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공식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개선된 부품 교체 등)를 진행하고 있거나 진행할 예정이다.
BMW 118d 321대에선 차량 실내·외 조명장치 등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오류로 계기판에 후미등 및 차폭등 작동 여부 표시등이 켜지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이는 자동차 안전기준 위반으로, 국토부는 리콜을 진행한 후 시정률 등을 감안해 과징금을 부과할 방침이다.
리콜 대상 차량은 오는 21일부터 비엠더블유코리아 공식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
이번에 제작결함이 발견돼 리콜에 들어가는 (왼쪽부터) 아우디 A6, 시트로엥 DS3 Crossback 1.5 Blue HDi [사진 = 국토교통부]
아우디 A6 40 TDI 등 11개 차종 1만764대와 시트로엥 DS3 Crossback 1.5 Blue HDi 78대는 2열 좌석안전띠 경고장치가 자동차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이들 차종 역시 우선 리콜 진행 후 과징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해당 차량은 개선된 소프트웨어 개발 및 부품 준비 중으로 개발 등이 완료되는 대로 무상으로 수리(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부품 교체)를 진행할 예정이다.
시트로엥 DS3 Crossback 1.5 Blue HDi 7대와 DS3 Crossback 1.5 Blue HDi 29대(미판매)는 각각 뒤쪽 브레이크 호스 고정 불량으로 주행 중 파손될 위험성과 냉각수 저장탱크 상·하 부품 접착 불량에 따른 엔지 과열 가능성이 확인됐다. 해당 차량은 3월 3일부터 전국 한불모터스 공식서비스센터에서 무상 수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해당 제작사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문자로 시정방법 등을 알려야 하며, 결함시정 전 차량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