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30대 그룹 고용 성장률 5년간 매년 1%대…4년째 130만명대
입력 2020-02-27 08:16  | 수정 2020-03-05 09:05

국내 30대 그룹의 고용 성장률이 최근 5년간 매년 1%대에 그쳐 고용 인원이 4년째 130만명대에서 정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고용 비중이 가장 높은 그룹은 삼성으로 30대 그룹 5명 중 1명꼴이 삼성 직원으로 나타났으며, SK는 가장 높은 고용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조직개발 전문업체 지속성장연구소(대표 신경수)는 한국CXO연구소에 의뢰해 2010∼2019년 30대 그룹 고용 변동을 조사한 결과를 오늘(27일) 밝혔습니다. 조사는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30대 대기업 집단이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공시 자료를 토대로 이뤄졌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0년 30대 그룹의 고용 인원은 89만9천621명이었습니다.


이듬해인 2011년 103만명으로 '고용 100만명' 시대를 연 후 2012년(113만명), 2013년(121만명), 2016년(132만명)으로 증가해 지난해 134만명으로 역대 최고 고용 인원을 기록했습니다.

조사 시점인 2010년과 지난해를 비교하면 10년 새 고용 인원이 약 50%(44만9천800명) 증가했습니다.


전년 대비 고용 증가율도 2011년 14.7%, 2012년 9.9%, 2013년 7.2%, 2014년 5.1% 등 5% 이상을 나타냈습니다.

그러나 2015년부터 고용 성장세가 확 꺾였습니다. 2015년 고용 성장률은 1.6%에 그쳤고 2016년에도 1.8%였다가 2017년에는 2010년 이후 처음으로 고용이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2017년 고용 성장률은 -0.7%에서 2018년 1.3%, 지난해 1.5%로 다시 성장세로 돌아섰지만 여전히 1%대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이에 따라 2016년 고용 인원이 130만명대로 처음 진입한 이후 4년째 130만명대에 머물러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인력을 대규모로 감축했거나 계획한 대기업들이 있는 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인력 감축 폭이 더욱 커질 것으로 지속성장연구소는 예상했습니다.

신경수 대표는 "30대 그룹의 고용 성장이 벽에 부딪혔다"며 "고용 창출을 대기업에 의존하기보다는 중견·중소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경제활동인구를 늘리는 정책 강화가 바람직하다"고 말했습니다.


30대 그룹 중 고용 증가에 역할이 가장 큰 기업은 삼성이었습니다. 지난해 기준 25만103명을 고용했고, 30대 그룹 중 고용 비중은 18.5%였습니다. 30대 그룹 직원 5명 중 1명은 삼성 직원인 셈입니다.

SK는 고용인원이 2010년 3만6천642명에서 지난해 10만4천427명으로 10년새 185%나 성장,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SK는 2012년 이후 7년 연속 고용 규모가 계속 늘었습니다.

지난해 기준 직원이 10만명 이상인 그룹은 삼성을 포함해 현대차(16만2천153명·고용 비중 12%), LG(15만1천898명·11.3%), SK 10만4천427명(7.7%), 롯데(10만1천493명·7.5%) 등 5대 그룹이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