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국은행, 코로나19 여파에 내일 '금리인하' 결정하나?
입력 2020-02-26 14:57  | 수정 2020-03-04 15:0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 위축 우려가 현실화하는 가운데 한국은행이 내일(27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인하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던 기존 견해를 뒤집을지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위기경보 단계를 '심각'으로 격상한 뒤 금융시장에선 금리 인하 예상이 급부상하고 있지만, 일각에선 한은이 정책 신중성을 고려해 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관측도 여전합니다.

한은은 금통위 개최를 하루 앞둔 오늘(26일) 금통위원들이 참석하는 비공개 동향보고회의를 개최합니다.

이 회의에서 금통위원들은 한은 간부들에게 최근 경제동향 및 주요 현안에 관한 분석과 평가를 묻고 통화정책방향 결정에 참고합니다.


금통위원들은 이날까지 집계된 최신 경제동향과 전망자료 등을 토대로 코로나19가 국내 경제에 미칠 충격을 가늠할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투자협회가 집계한 내일(27일) 금통위 결과 전망은 '동결'이 우세합니다. 채권 관련 종사자를 상대로 한 설문에서 동결 응답이 81%, 인하 응답이 19%였습니다.

다만, 해당 설문이 국내 확진자 급증 이전인 12∼18일 중 이뤄진 점을 고려하면 현시점에선 의견 분포가 달라졌을 개연성이 큽니다.

설문 기간인 14일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리 인하에 신중히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고, 시장은 이를 '2월 동결' 신호로 받아들였습니다.

그러나 국내 확진자 수가 17일 30명에서 25일 977명(오후 4시 기준)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이 불거졌습니다.

정부는 23일 위기경보 단계를 심각으로 격상했고, 문재인 대통령은 경기 위축 대응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검토까지 지시했습니다.

정부가 현 상황을 '비상시국'으로 규정하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는 가운데 한은도 경기 위축 상황을 그대로 바라만 보고 있지만은 않을 것이란 게 시장 전문가들의 판단입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4일 한은 총재 발언 이후 국내 상황이 급격히 악화한 점을 고려하면 2월 금통위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3%에서 2.1%로 하향하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2월 금리를 동결하더라도 인하 기대는 자연스럽게 4월로 이연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2월 동결 가능성을 점치는 전문가들도 코로나19 사태가 조기에 잡히지 않을 경우 4월 인하가 불가피할 것으로 봅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가 경제활성화 대책을 마련 중이고 현 상황에서 금리를 내린다고 해서 큰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이지 않아 기존의 2월 동결 예상 견해를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코로나19가 내달 초중반까지 잡히지 않을 경우 4월 인하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 총재는 국내 코로나19 확산 사태가 심각해지자 해외 출장 일정을 하루 단축해 그제(24일) 오전 귀국한 뒤 곧바로 오후 3시 긴급 간부회의를 주재했습니다.

다만, 지난 14일 발언 이후에는 통화정책방향과 관련해 추가 언급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