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부 "공공기관 차량 2부제 일시 중단…상황종료 때까지"
입력 2020-02-25 14:43 
서울과 인천, 경기를 비롯한 수도권에 예비저감조치가 발령·시행된 지난 1월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입구에 차량 2부제 안내판이 세워져 있는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위기경보가 '심각'으로 격상됨에 따라 25일부터 수도권 및 6개 특별시·광역시에서 시행 중인 공공기관 차량 2부제를 일시 중단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지역사회 내 전파 가능성을 낮추고 정부의 총력대응을 위해 현 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공공2부제 적용을 일시 중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작년 11월 수립된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 특별대책'에 따라 12월∼3월 서울, 인천, 경기,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내 국가·공공기관에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공공2부제를 실시하고 있다.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지역 사회 전파 우려를 높일 수 있는 공공2부제를 중단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은 꾸준히 나왔으나 정부는 신중한 입장이었다.

앞서 정부는 이달 초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공공 의료, 방역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의 차량 2부제를 일시 중단하면서도 전면 해제는 아니라고 선을 그은 바 있다.
그러나 21일 코로나19 확산 속도가 가파른 대구 지역 공공·행정 기관 2부제를 중단한 데 이어 감염병 위기 경보가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격상되자 이날 오전 공공2부제 중단을 전격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환경부에 따르면 공공2부제 대상인 행정·공공기관은 1900여곳, 차량 대수로는 26만대로 추산된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