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구 봉쇄` 논란에 정부 "`그 봉쇄`는 아니다"
입력 2020-02-25 13:41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정부는 25일 고위 당·정·청 협의회에서 언급된 '대구·경북지역 최대 봉쇄 조치'가 중국 우한시처럼 지역 자체 통제는 아니라고 재차 밝혔다.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봉쇄 전략은 영어로 'containment'라고 하는데 최대한 발생 초기 단계에서 추가 확산을 차단하는 장치"라고 했다.
"외국에서 들어오는 걸 차단하든지, 접촉자를 빨리 찾아내서 추가 확산을 방지하든지, 조기에 검진을 좀 더 한다든지 등으로 확산을 차단한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중국 우한시처럼 인적·물적교류를 물리적으로 단절시키겠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설명이다.
김 차관은 신천지 신도나 증상이 있는 사람에 관한 전수조사도 '봉쇄' 전략의 하나로 시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통상적으로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사람들까지 검사하는 일은 없다"면서도 "하지만 (봉쇄 정책으로) 신천지 신자는 증세가 없는 사람을 포함해 9000명에 대해 전수조사를 하겠다고 이미 말했다. 가벼운 감기와 같은 증상이 있는 사람도 다 검사 조치하겠다고 말을 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측도 이날 취재진에 "최대한의 봉쇄정책 시행은 방역망을 촘촘히해 코로나19 확산과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려는 조치를 의미하며, 지역 출입 자체를 봉쇄한다는 의미가 아니다"고 해명했다.
정부는 이날 정세균 국무총리가 대구에 직접 간다는 점도 밝혔다.
김 차관은 "오늘 총리가 회의를 마치고 직접 대구 현장에 내려가서 이번 주 내내 방역 상황을 점검하는 중대본부장으로서의 직무를 수행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적 봉쇄가 있는 상황이라면 국무총리나 복지부 장관, 행안부 장관이 내려가는 건 이치에 맞지 않다. 이럴 때일수록 국민의 오해가 없어야 할 거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이상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