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구·경북 이동봉쇄` 논란 커지자 靑까지 나서 "아니다"
입력 2020-02-25 10:31  | 수정 2020-02-25 13:54
코로나19 발언하는 이인영 [사진 =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정부가 대구·경북 지역에 대한 이동 봉쇄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가 급히 '오해'라고 수습했다. 당 수석대변인이 봉쇄조치와 관련해 '이동에 있어 일정 정도 행정력을 활용을 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탓이다. 민주당과 청와대는 즉각 그런 뜻이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자칫 특정 지역주민의 불안과 이에 대한 혐오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채 언론브리핑을 나선 것에 대해 비판이 나오고 있다.
25일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긴급 고위 당정청회의 이후 결과브리핑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역사회 확산이 시작되는 현단계에서 봉쇄정책을 극대화시켜 전파를 최대한 차단하고 지역사회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대책 적극 추진한다"며 "특히 대구·경북을 감염병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해 통상의 차단조치를 넘어서는 적극 차단에 나서기로 했다"고 말했다.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브리핑 후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봉쇄정책 극대화'와 '통상의 차단조치를 넘어서는'이라는 표현과 관련해 '봉쇄정책의 구체적인 의미가 무엇이냐' 묻자 "정부측에서 고민을 하고있는데 최대한 이동이나 이런 부분에서 일정 정도 행정력 활용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며 "구체적 내용은 오늘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후 정부측 발표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봉쇄정책이 방역 차원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의미가 아닌 사람·물자 등의 물리적인 이동까지 정부의 행정력을 동원해 막는 것을 검토 중이라는 취지의 발언이었다. 마치 중국 정부가 우한 지역을 봉쇄한 것처럼 우리 정부도 대구·경북 지역을 봉쇄할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로 비춰져 파장이 일었다.
이에 홍 수석대변인은 즉각 추가브리핑에 나서 답변을 바로잡았다. 그는 "봉쇄의 개념이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처럼 지역 봉쇄가 절대 아니다"라며 "방역당국에서 전문용어로 봉쇄와 완화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 코로나19 조기 차단 위해서 조기에 봉쇄하고 완화한다는 차원의 봉쇄이기 때문에 대구·경북 지역주민을 고립시키는 것은 사실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재차 "방역과 관련된 의미에서의 봉쇄이지 지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앞서 브리핑에서 봉쇄정책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 '이동에 대한 행정력 활용'을 언급한 점을 비춰보면 당초 질의응답의 취지와 배치되는 해명이다. 때문에 당정청의 입장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채 질의응답 과정에서 실수를 저지른 것으로 비춰지는 상황이다.
청와대도 해명에 나섰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아침 고위 당정협의회 결과 브리핑에서 '최대한의 봉쇄정책'을 시행한다는 표현이 있으나, 이는 지역적인 봉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코로나19 전파와 확산을 최대한 차단한다는 뜻임을 분명히 밝히라고 대변인에게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석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