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조선왕권 상징' 고종 국새·효종어보, 다시 한국 품에
입력 2020-02-20 08:23  | 수정 2020-02-27 09:05

조선 국왕 권위를 상징하는 도장 두 점이 미국에서 한국 품에 다시 돌아왔습니다. 84살 재미교포 이대수 씨가 외국으로 무단 유출된 조선 후기 국새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를 작년 12월 문화재청에 기증했기 때문입니다.

국새는 외교문서와 행정문서 등 공문서에 사용하는 도장이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어보는 왕과 왕비 덕을 기리거나 사후 업적을 찬양하기 위해 만든 의례용 도장입니다.

조선시대 국새와 어보는 모두 412점이 제작됐는데, 73점은 소재가 불분명합니다. 해방 이후 지난해까지 7차례에 걸쳐 협상·기증·수사 공조 등을 통해 국새 6점과 어보 8점을 미국에서 환수했습니다.

대군주보는 높이 7.9㎝, 길이 12.7㎝, 무게 4.1㎏입니다. 은에 도금했으며, 손잡이는 거북 모양이고, 서체는 구첩전(九疊篆·글자 획을 여러 번 구부려서 쓴 전서체)입니다. 제작 시기는 '고종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을 근거로 1882년으로 추정합니다.


대군주보 사용 시기는 1882년부터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까지로 파악됩니다. 1883년 외국과 통상조약 업무를 담당하는 전권대신을 임명한 문서와 1894년 갑오개혁 이후 대군주 명의로 반포된 법률·칙령 등에 사용한 예가 확인됐습니다.

조선시대 인장 전문가인 서준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조선은 본래 명과 청이 준 '조선국왕지인' 국새를 썼으나, 고종은 '대군주보' 국새 제작을 지시했다"며 "당시 '보'는 천자만이 쓴다고 알려진 글자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대군주보와 함께 돌아온 효종어보는 높이 8.4㎝, 길이 12.6㎝, 무게 4.0㎏입니다. 손잡이는 거북 모양이며, 금빛을 띠고, 영조가 1740년 제17대 임금 효종(재위 1649∼1659)에게 '명의정덕'이라는 존호를 올릴 때 만들었습니다.

효종어보는 1659년, 1740년, 1900년에 각각 제작됐습니다. 그중 1659년 어보는 사라졌고, 1900년 어보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있습니다.

서 연구사는 "1739년 제작한 중종비 단경왕후 금보와 비교하면 제작 기법과 글자 새김이 매우 유사하다"며 "18세기 중반 왕실문화 정수를 보여주는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는 오늘(20일)부터 다음 달 8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2층 '조선의 국왕'실에서 공개됩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 환수는 기증이라는 우호적 방식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행방불명 상태인 어보와 국새에 대한 안내문과 홍보물을 제작해 기증을 통한 환수를 지속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다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