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재미교포의 아름다운 기증, 고종 국새 태평양 건너 마침내 고국으로…
입력 2020-02-20 08:20 
[사진출처 = 문화재청]


조선 시대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도장 두점이 태평양을 건너 미국에서 한국으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지난 19일 외국으로 무단 유출된 조선 후기 국새 '대군주보'(大君主寶)와 '효종어보'(孝宗御寶)를 재미교포 이대수(84) 씨로부터 지난해 12월 기증받아 최근 국내에 들여왔다고 19일 밝혔다.
국새(國璽)는 국권을 나타내는 도장으로 외교문서와 행정문서 등 공문서에 사용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어보(御寶)는 왕과 왕비 덕을 기리거나 사후 업적을 찬양하기 위해 만든 의례용 도장을 지칭한다.

조선시대에 국새와 어보는 모두 412점이 제작됐는데, 73점은 소재가 불분명하다. 해방 이후 지난해까지 7차례에 걸쳐 협상·기증·수사 공조 등을 통해 국새 6점과 어보 8점이 미국에서 환수됐다.
대군주보는 높이 7.9㎝, 길이 12.7㎝, 무게 4.1㎏이다. 은에 도금했으며, 손잡이는 거북 모양이다. 서체는 구첩전이다.
제작 시기는 '고종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을 근거로 1882년으로 추정됐다.
대군주보 사용 시기는 1882년부터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까지로 파악됐다. 1883년 외국과 통상조약 업무를 담당하는 전권대신을 임명한 문서와 1894년 갑오개혁 이후 대군주 명의로 반포된 법률·칙령 등에 사용한 예가 확인됐다.
대군주보와 함께 돌아온 효종어보는 높이 8.4㎝, 길이 12.6㎝, 무게 4.0㎏이다. 손잡이는 거북 모양이며, 금빛을 띤다. 영조가 1740년 제17대 임금 효종(재위 1649∼1659)에게 '명의정덕'(明義正德)이라는 존호를 올릴 때 만들었다.
효종어보는 1659년, 1740년, 1900년에 각각 제작됐다. 그중 1659년 어보는 사라졌고, 1900년 어보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다.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는 20일부터 다음 달 8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2층 '조선의 국왕'실에서 공개된다.
유물 소유자였던 이대수 씨는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를 1990년대 후반에 경매를 통해 매입했고, 외국에 떠도는 국새와 어보가 대한민국 정부 재산이자 도난 문화재라는 사실을 인지해 기증을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뉴스국 이상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