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시, 상반기 22조원 풀고 공공일자리 2천700개 조성
입력 2020-02-18 14:25  | 수정 2020-02-25 15:0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피해를 극복하기 위해 서울시가 대책을 내놨습니다.

시는 소비·내수 진작, 사업장 방역 강화, 피해 기업 지원 등을 골자로 한 대책을 오늘(18일) 발표했습니다.

시는 경기 활성화 촉진을 위해 상반기에 올해 재정 35조805억원의 62.5%인 21조9천43억원을 집행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조기 집행 15조3천787억원에서 6조원 넘게 늘어난 규모입니다.


시는 시민 접촉 기관인 자치구로 가는 예산을 신속하게 교부해 확대재정에 대한 체감도를 높이고, 긴급입찰, 선금급 지급 활성화 등 재정 조기 집행을 위한 규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상반기에 올해 공공 구매 예산의 60%인 2조5천200억원을 투입해 중소기업 제품 구매에 쓸 예정입니다.

시는 또 코로나19와 관련한 공공 일자리 2천700개를 만들 계획입니다.

일단 전통시장 방역에 1천명을 투입한다. 시급성을 고려해 공고 기간은 20일에서 열흘로 단축키로 했습니다.

이들은 시내 350개 전통시장과 상점가에서 대대적 방역을 벌여 '안심클린시장'을 조성합니다.


서울시는 또 이들이 시내 다중이용시설 3만5천곳 중 파급효과와 긴급성이 큰 1만곳도 방역 소독토록 할 방침입니다.

2차로 모집할 1천700명은 관광업, 소상공 업계 등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업종 종사자 위주로 뽑아 기존의 공공근로에 추가 투입할 예정입니다.

이들을 투입할 일자리는 자치구 수요조사를 거쳐 정하기로 했습니다.

시는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공공일자리를 위해 올해 하반기 공공근로사업에 쓰려던 예산 276억원을 당겨서 사용할 방침입니다.

여전한 불안함 때문에 전통시장을 찾지 않는 시민들을 위해서는 온라인 배송 서비스 적용 시장을 기존 29개에서 35개로 늘립니다.

액면가에서 1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서울사랑상품권의 1인당 월 구매 한도는 지금의 2배인 100만원으로 올립니다. 적용 기간은 오는 20일부터 4월 말까지입니다.

상품권은 현재 구매 시에만 제공하는 할인을 사용 시에도 2∼5%가량 얹어주는 일종의 '캐시백'을 도입, 실질적 할인율을 최대 15% 수준으로 올릴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또 소상공인을 위한 '특별경영안정자금'을 신설합니다. 확진자 동선상 업체 정보 공개로 피해를 봤거나 강제·자가격리로 영업을 일시 중단한 소상공인에게 1% 금리로 자금을 빌려줍니다.

사태가 장기화하면 서울시의회 의결을 거쳐 지방세 감면 등 세제 지원을 확대할 방침입니다.

아울러 점심 기준 하루 2천500여명이 이용하는 시청사 등의 구내식당 의무 휴업을 월 1회에서 2∼4회로 확대해 인근 식당가의 영업을 돕기로 했습니다.

시는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되면 중소기업·소상공인 박람회, 전통시장 축제 등을 대대적으로 개최할 계획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서울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을 위한 공동 브랜드 '서울메이드'(SEOULMADE)를 활용, 수출 시장 다변화를 꾀합니다.

오는 6월 베트남 하노이에 '서울메이드 스트리트'를 조성하고 판매·전시관과 문화체험공간을 만들 예정입니다. 동남아뿐만 아니라 북·남미 지역에도 팝업 스토어 등을 열어 서울메이드를 알리기로 했습니다.

한편 박원순 서울시장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중소기업, 소상공인 간담회'를 이날 오전 DDP패션몰 패션아트홀에서 열어 민생경제 지원 방안을 설명하고 현장의 어려움을 들었습니다.

박 시장은 "소비심리가 움츠러들어 소상공인 등이 어려움에 직면했다"며 "바이러스로 우리 일상이 무너지지 않도록 민생을 챙기겠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