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개강 앞두고 중국 유학생 대거 입국…대학가 대책 마련 '진땀'
입력 2020-02-16 17:36  | 수정 2020-02-23 18:05

신학기 개강을 앞두고 전국 대학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중국인 유학생 관리 방안 마련에 진땀을 빼고 있습니다.

중국인 유학생들이 일정 기간 외부와 차단된 채 지낼 수 있도록 기숙사 시설을 정비하고 수송·학사 대책을 세운 곳도 있지만, 현실적 여건을 이유로 구체적 계획을 세우는 데 어려움을 겪는 곳도 상당수입니다.

오늘(16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 11개 대학에 학적을 둔 중국인 유학생은 2천551명입니다. 이 가운데 2천51명은 중국에, 500명은 국내에 머물고 있습니다.

지역 상당수 대학이 개강을 3월 16일로 연기했지만, 건강 상태 파악에 필요한 시간과 2주간 관찰 기간 등을 고려하면 이번 주부터 3월 초 사이 많은 중국인 유학생이 입국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호남대 등 중국인 유학생이 많은 대학 대부분은 기숙사 중 일부를 '격리동'으로 활용하기로 하고 내부 시설 재배치 등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또 주요 시설 방역과 함께 열 감지기를 설치하고 중국어 등 외국어로도 안전수칙을 안내하기로 했습니다.

충남지역 대학들도 미리 확보해둔 기숙사나 학교 밖 시설에서 중국인 유학생들이 임시로 생활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이 지역 대학들은 입국 후 격리 기간을 고려해 유학생들에게 개별 입국을 자제하고 오는 26∼28일 집중적으로 입국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경북도 내 24개 대학도 3월 개강에 맞춰 입국하는 중국인 유학생 1천301명을 2주간 기숙사에 격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영남대와 경일대, 안동대는 공항에서 전세버스로 중국인 유학생을 한꺼번에 기숙사로 보낼 방침입니다.

외부인 출입을 통제하는 기숙사에 14일 동안 생활하는 중국인 유학생은 도시락 등으로 식사를 해결하고 매일 발열 체크 등 건강 상태도 관리받습니다.

경북도는 대학마다 마스크, 손 세정제, 손 소독제, 열화상 감지 카메라 등 방역물품을 지원하고 기숙사 숙식비 등 중국인 유학생 별도관리에 사용하는 추가 비용 대부분도 부담합니다.


그러나 격리 시설 규모와 비용 등 현실적 여건을 이유로 대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는 곳도 있습니다.

대구에 있는 계명대는 개학에 맞춰 입국하는 중국인 유학생 700여명을 최소 2주간 기숙사에 격리한 뒤 수업 참여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하지만 기숙사 시설 등을 고려할 때 1인 1실 격리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 유학생들 주소지가 중국 여러 도시에 흩어져 있고 입국 날짜와 항공편이 제각각이어서 인천공항, 김해공항 등에서 학교까지 수송할 방법도 마땅치 않다고 합니다.

경기도 내 대학들도 기숙사 일부 또는 전체를 비워 격리시설로 활용하고, 교외에서 거주하는 학생들은 원격으로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용 부담 문제 등을 이유로 구체적인 격리 방법에 대한 논의는 미루고 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