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커들로 美 백악관 경제위원장 "中 과연 정직할까" 시진핑 저격
입력 2020-02-14 11:50 
지난 10일(현지시간) 베이징에서 우한코로나여파 40여일 만에 처음으로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15일 뉴햄프셔에서 열린 공화당 유세에서 박수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 [사진 출처 = 중국 CCTV·AP통신]

미국 백악관이 코로나바이러스19 (COVID-19·우한코로나) 감염증 사태를 둘러싸고 중국을 향해 노골적인 반감을 드러냈다. 미국이 최근 며칠새 부쩍 사이버 안보를 강조하며 '화웨이 공세'에 나선 가운데 중국에 대한 불만이 더 커진 것이다.
래리 커들로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1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중국 내 (우한코로나 감염)확진자 수가 줄어들고 있다고 여겼지만 그렇지 않을 수 있음이 드러나고 있다"면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끄는 당국 대응에 대한 실망감을 표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이날 전했다. 커들로 위원장은 미국이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전문가들을 중국으로 파견하겠다고 제안한 것을 중국이 받아들이지 않은 데 따른 불만도 강조했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13일 기자회견에서 "중국 정치국을 믿을 수 있나? 중국의 투명성 결여된 대응에 실망했다"고 불신감을 표했다. [사진 출처 = 미국CNBC]
그는 "이 바이러스(우한코로나)는 우리나라에서는 통제되고 있지만, 과연 중국에서도 통제가 되고 있는 건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지난 12일 하루에만 중국 전국 31개 성에서 확진자가 1만5152명·사망자가 254명 무더기로 늘어난 것에 대해 '놀랍다'면서 중국의 대응에 의구심을 드러냈다.
특히 커들로 위원장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위시한 최고 지도부를 직접 언급했다. 그는 "중국 정치국(Politburo)이 우리에게 정직할까?"라고 기자들에게 반문하면서 "중국의 투명성 결여된 대응에 실망했다. 앞으로도 더 나아질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면서 깊은 불신을 드러냈다. 커들로 위원장은 앞서 4일 CNBC 인터뷰에서 "중국발 바이러스 때문에 미·중 1단계 합의 이행이 늦어질 수 있다"고 하기도 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겉으로는 중국에 대한 신뢰를 언급한 바 있지만, 현실에서 트럼프 정부는 '사이버 보안'을 두고 중국에 전방위 압박을 가하고 있다. 오는 28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과 스티븐 므누신 재무부 장관, 윌버 로스 상무부 장관, 마크 에스퍼 국방부 장관등 주요부처 장관들이 모여 '대중국 수출 제재 장관회의'를 연다. 세계 최대 통신장비업체이자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중국 화웨이를 겨냥한 것이다.
트럼프 정부는 중국 압박을 위해 각 부처별로 전방위 압박에 나선 상태다. 12일 뉴욕 연방검찰은 화웨이에 대해 '미국 기업 영업기밀 빼돌리기'와 이란·북한 제재 위반 등 16개 혐의를 적용해 리코(RICO)법을 위반했다는 내용의 추가 공소장을 브루클린 연방법원에 제출했다고 이날 WSJ등 현지 언론이 전했다. 리코법은 범죄집단이나 기업 부정거래 등 조직적 부패 범죄를 처벌하는 법이다. 앞서 10일 연방 검찰은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해커 4명에 대해 "지난 2017년 5~7월 이들이 미국 개인신용정보업체 에퀴팩스에서 약 1억5000만명의 개인정보를 빼돌렸다"면서 개인정보 유출 및 사생활 침해 등 총 9건의 혐의를 적용해 에퀴팩스 본사가 소재한 애틀랜타 연방법원에 기소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겅솽 중국 외무부 대변인은 "중국이야말로 미국 해킹의 피해자"라고 반발한 바 있다.

앞서 11일에는 미국 교육부가 하버드대와 예일대를 상대로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이란 등 외국으로부터 불법 기부금을 받았는지 여부를 두고 조사에 착수했다. 중국이 해외 고급 두뇌를 중국으로 데려와 첨단 과학기술을 육성하고자 2008년 시작한 '천인계획' 등을 겨냥한 것이다. 교육부는 특히 중국 이동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와 ZTE 등과의 산학협력 사업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하라고 주문했다. 앞서 미국 검찰은 중국 '천인계획' 프로그램에 참여해 국 정부 자금지원을 받으면서 제대로 신고하지 않고 우한이공대를 위해 일했다는 이유로 찰스 리버 하버드대 화학·생물학과장을 기소하기도 했다.
우한코로나 여파 속에 미국이 중국에 칼날을 겨누면서 일각에서는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과 류허 중국 부총리가 서명한 '미·중 1단계 무역합의'가 깨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 12일 벤 스테일 미국 외교협회(CFR) 선임연구원 겸 국제경제 담당 국장은 뉴욕 주재 대한민국 총영사관에서 진행한 강연에서 "오는 11월 미국 대선 직후를 기점으로 미·중 1단계 합의가 깨질 것으로 본다"는 개인 의견을 밝혔다. 스테일 국장은 "중국의 미국산 제품 구매 확대 등 합의문 내용은 매우 비현실적"이라면서 "중국의 미국 제품 구매 규모는 합의문의 절반 정도인 1000억달러 정도만 가능할 것이고 이렇게 되면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올리는 식으로 반발해 결국 양국 간 합의에 금이 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인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