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고가아파트 매입 361명 세무조사…'30대 이하' 타깃
입력 2020-02-13 19:30  | 수정 2020-02-14 08:49
【 앵커멘트 】
부동산 거래 과정에서 탈세 혐의가 포착된 360여 명이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받게 됐습니다.
국세청은 특히 자금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30대 이하 청년층이 부모로부터 불법 증여받은 돈으로 주택을 구입했는지를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송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해외에서 사업체를 운영하는 A씨.

속칭 환치기 업자를 통해 국내로 수십억 원을 송금했고, 30대 아들은 이 돈으로 아파트 2채를 비롯해 고가의 부동산을 사들였습니다.

지방에서 소규모 자영업을 하는 또 다른 30대는 서울에 고가 아파트를 전세를 낀 갭투자 형식으로 구입했습니다.

하지만, 아버지와 할머니로부터 현금을 꾸준히 받아온 사실이 적발됐습니다.


국세청이 이렇게 최근 집값 급등 시기에 고가 아파트를 사거나 전세를 얻은 사람들 중 탈세 혐의가 의심되는 361명을 선정해 세무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지난해 10월부터 진행된 관계기관 1,2차 합동 조사 결과 등을 전수 분석한 결과 자금출처가 의심스러운 사람들입니다.

▶ 인터뷰 : 김태호 / 국세청 자산과세국장
- "부동산 거래과정에서 투기 흐름에 편승해 편법 증여한 혐의가 있는 사람 등 탈루 거래가 명백한 자를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였습니다."

특히, 이번 세무조사의 타깃은 30대 이하로 이들은 전체 조사대상자 중 74%를 차지합니다.

지난해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중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31%였고, 1,2차 합동 조사 결과 국세청에 통보된 탈세의심자료에서도 30대 이하가 절반을 넘었습니다.

국세청은 또 다주택자들이 차명계좌를 통해 임대소득 신고를 누락하거나, 합산과세 회피를 위해 설립된 부동산업 법인의 탈루혐의에 대해서도 조사할 방침입니다.

MBN뉴스 송한진 입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