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불붙은 수원 집값 1년새 3억원↑…`발등의 불` 정부 "조정지역 추가"
입력 2020-02-13 17:53  | 수정 2020-02-13 20:09
서울 강남권을 타깃으로 한 12·16 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경기 수원·용인 등 수도권 비규제지역 집값이 뛰는 풍선효과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특히 수원은 외지인의 투자가 몰리면서 한 주 만에 집값이 2% 이상 오르는 등 과열 양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4월 총선을 앞두고 뒷짐만 지고 있던 정부가 뒤늦게 규제지역 추가 지정을 검토하고 나섰다.
13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2월 둘째주(10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경기 지역 아파트값은 0.39% 올라 전주(0.22%)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반면 강남 4구의 아파트값은 0.05% 떨어지며 하락폭을 키웠고, 양천구(-0.01%)는 지난해 5월 넷째주 이후 37주 만에 하락 전환했다.
특히 수원이 지난주보다 2배 이상 상승폭을 키우며 수도권 집값 상승을 주도했다. 먼저 수원 권선구(1.23%→2.54%)는 신분당선 연장 등 교통 호재가 있는 금곡·호매실동 위주로 상승폭을 확대했다. 영통구(0.95%→2.24%)는 광교중앙·망포역 역세권 위주로, 팔달구(0.96%→2.15%)는 재개발 이슈가 있는 매교역(팔달8구역)과 화서역 인근 단지 위주로 집값이 뛰었다. 수원 집값이 한 주 만에 2% 이상 오른 것은 감정원 통계 작성(2012년 5월) 이후 8년 만에 처음이다. 이들 지역은 지난 12·16 대책 이후 평균 5% 이상 집값이 급등했다. 수원 영통구 이의동의 신분당선 광교중앙역(아주대) 근처에 있는 '자연앤힐스테이트'는 지난달 11일 전용 84㎡가 12억7000만원에 거래돼 1년 전보다 약 3억원 뛰었다.
수원과 함께 '수용성(수원·용인·성남)'으로 불리는 용인의 강세도 지속됐다. 수지구(0.71%→1.05%)는 성복역 인근 단지와 풍덕천동 위주로, 기흥구(0.50%→0.68%)는 광교지구 인근 영덕동과 교통 호재(인덕원선)가 있는 서천동 위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이처럼 수도권 집값 과열이 심해지자 뒷짐만 지고 있던 정부도 뒤늦게 규제를 검토하고 나섰다. 정부는 이날 비공개 관계장관회의인 녹실회의를 열고 최근 과열 기미가 있는 일부 수도권 지역 주택 시장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은성수 금융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홍 부총리는 "전반적으로 경제가 위축된 상황에서 집값이 다시 뛰면 서민층 고통이 커지는 만큼 시장동향과 자금 흐름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이상 징후 땐 엄정하게 대처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이에 따라 조만간 주거정책심의위원회를 열어 수원과 용인 등 수도권 남부 일부를 조정대상지역으로 묶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수용성' 지역 가운데 수원 팔달구와 광교지구, 용인 수지·기흥, 성남은 이미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조정대상지역이 아닌 수원 권선·영통구 등이 조정대상지역으로 추가 지정될 것으로 보인다.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되면 주택담보대출비율이 60%로 제한되고 총부채상환비율 50%가 적용된다. 국토부는 일단 조정대상지역만 추가 지정하고 상황을 지켜본 뒤 투기과열지구 등으로 규제를 확대할지, 수원 재개발 사업지 등을 고려해 투기과열지구로 동시에 묶을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총선을 의식한 정부가 늑장 대처를 하는 바람에 수도권 풍선효과가 확산됐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날 녹실회의에서 김현미 장관은 "수원과 용인 등 일부 지역에서 상승하고 있지만 아직 전반적인 상승세로 판단되지 않는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풍선효과는 12·16 대책 직후부터 꾸준히 제기돼 온 문제인데 대처를 안 한 것은 총선을 의식해 문제를 키운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이지용 기자 / 정지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