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크루즈 집단감염에 일본 대응 논란…WHO "입항허가 촉구"
입력 2020-02-13 08:00  | 수정 2020-02-13 08:14
【 앵커멘트 】
200명에 육박하는 코로나19 감염자가 나온 일본 대형 크루즈선 사태의 책임이 일본 정부에 있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는데요.
세계보건기구가 일본 정부에 '적절한 조치'를 촉구했습니다.
보도에 장명훈 기자입니다.


【 기자 】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초기부터 '미즈기와' 방역대책을 고수해 왔습니다.

물가라는 의미의 '미즈기와'는 전염병이 유행할 때 항구나 공항을 막아 일본 본토로 전염병의 유입을 차단하는 대응 방법입니다.

요코하마 앞바다에 정박 중인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도 이 대책에 따라 지난 3일부터 해상 격리 중입니다.

하지만, 일본의 이 대책이 크루즈선 내 집단감염을 불러왔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사태 초기 승선자 전원에 대해 검사를 하지 않은 채 무작정 격리시키면서, 감염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는 겁니다.

▶ 인터뷰 : 가토 / 일본 후생노동상
- "검역은 시간이 걸리고 여전히 해결되고 있습니다…. 승객과 승무원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지금이라도 승선자 전원에 대한 검사와 함께 감염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크루즈선이 '공포의 섬'이 됐다는 말까지 나오자 WHO가 "일본 정부, 선주 등과 지속해서 접촉하고 있다"며 입항 허가와 승객에 대한 적절한 조처를 촉구했습니다.

한편, 일본 정부가 크루즈선에 남아 있는 3천500여 명의 승선자 가운데 발열 등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검체를 채취해 검사 중이라 감염 판정자는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MBN뉴스 장명훈입니다. [ jmh07@mbn.co.kr ]

영상편집 : 서정혁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