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올해 하반기 연구윤리지원센터 신설…관리체계 강화"
입력 2020-02-05 15:15 

"한국연구재단은 올해 하반기까지 연구윤리지원센터를 신설할 예정이다.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의 연구부정 사건에 대한 조사·심의부터 검증, 예방·교육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노정혜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사진)은 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인근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가 R&D 사업의 관리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이처럼 밝혔다. 노 이사장은 "최근 미성년자 자녀의 부당한 논문 공저자 등재, 연구비 유용 등 연구 윤리 문제가 불거지면서 관련 업무가 늘어남에 따라 전담 조직을 기존 팀에서 센터 단위로 확대하기로 한 것"이라며 "현재 전문 인력과 예산을 확보 중"라고 설명했다.
다만 노 이사장은 "연구윤리지원센터를 운영하더라도 기존과 동일하게 연구부정 사건에 대한 조사·징계 권한은 일차적으로 연구자가 소속된 연구기관에 있다"며 "기관 차원에서 내린 결론이나 조치에 대해 대내외적으로 이의 제기가 있을 경우에 한해 연구재단에서 재조사를 요구할 순 있지만, 연구 윤리는 어디까지나 연구기관의 자율과 책임 문제"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과도한 규제로 연구자들의 자율성을 해쳐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노 이사장은 전임·비전임을 통틀어 신진 연구자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박사학위 취득 후 일자리가 없어 대학에 머물고 있는 연구 인력 중 산업계 진출을 희망하는 젊은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한 '키우리(KIURI)'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며 "산업계 수요에 맞는 연구 과제를 직접 수행하며 독립적인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1인당 연간 1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진 연구자 대상 신규 과제도 지난해 591개에서 올해 765개 수준으로 늘리고, 사업당 연구비 단가도 연평균 1억원에서 1억5000만원으로 상향한다.
노 이사장은 "올해부터는 학문 분야별 특성을 고려해 연구비와 연구기간, 과제 수 등을 달리하는 맞춤형 지원 체계도 새롭게 도입한다"며 "올해 수학 분야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물리학, 화학, 지구과학, 생명과학, 의학 등 5개 분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이론 연구 중심의 수학과 발전 속도가 빠른 생명과학, 대형 국제 프로젝트가 많은 물리학 등 각 분야별로 연구 환경이 제각각인데도 불구하고 정부의 획일화된 연구 지원 체계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다.
한편 연구재단의 올해 예산은 총 6조8868억원으로 전년 대비 19%(1조1000억원) 증액됐다. 이 가운데 인력 양성과 대학 재정지원 부문이 전년 대비 29.7%(3930억원) 늘어난 1조7151억원으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연구개발비는 전년보다 15.2% 증가한 4조1718억원이 배정됐다. 연구재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가 주관하는 대부분의 R&D 사업을 관리·집행하는 연구관리 전문기관이다.
[송경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