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1번 확진자 치료 경과 담은 국내 첫 '신종코로나' 논문 발표
입력 2020-02-04 15:46  | 수정 2020-02-11 16:05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환자의 증상과 치료 경과 등을 분석한 논문이 처음으로 나왔습니다.

지금까지 신종코로나 확진 환자 관련 논문은 중국과 미국, 유럽 등지에서 발표된 게 대부분이었습니다.

오늘(4일)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KMS)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오명돈 교수팀은 국내 첫 신종코로나 환자로 확진된 35세 중국 국적 여성의 증상과 현재까지의 치료 경과 등을 공개했습니다.

이 환자는 춘제(春節·중국의 설)를 맞아 한국과 일본을 여행하기 위해 19일 인천으로 입국한 후 검역과정에서 발열 등 증상으로 '조사대상 유증상자'로 분류돼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인 인천의료원으로 이송됐다. 이후 방역당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검사에서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주목되는 건 이 환자가 증상 발현 후 3일만인 21일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는 폐에 침윤이 관찰되지 않았다가 25일 촬영에서는 폐 침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의료진은 이에 대해 "경미한 증상이 나타난 후 3일 만에 폐렴에 걸렸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신종코로나 증상만으로 격리 조치된 이후 폐렴을 암시하는 임상적인 특징이 없었는데도 영상 촬영 검사에서 폐렴이 나왔다는 것입니다. 만약 증상과 상관없이 추가 검사를 하지 않았다면, 이 환자에 대해 폐렴 진단을 내리지 못했을 수도 있다고 의료진은 설명했습니다.

의료진은 논문에서 이 환자에게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치료 성분 두 개(lopinavir, Ritonavir)를 섞어 투약했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최고 38.9도까지 올랐던 열은 격리 입원 11일 만에 정상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14일째(1월 31일)에는 호흡곤란도 개선됐습니다.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는 폐 병변도 줄어든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의료진은 "이번 환자의 사례로 볼 때 상부 호흡기 감염에서 폐렴으로 진행할지 여부를 예측할 수 없는 만큼 역학적인 연관성이 있으면서 관련 증상이 있는 모든 사람에 대해서는 선별검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