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내 3사 '나란히 적자'인데…중국 CATL은 지난해 순이익만 8천억
입력 2020-02-04 09:42  | 수정 2020-02-11 10:05

글로벌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의 작년 순이익이 전년 대비 최대 45% 급증했다는 추정이 나왔습니다.

국내 배터리 3사가 지난해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서 각각 3천∼5천억 원대 적자 기록한 모습과 대비됩니다. 중국 배터리 업체의 약진이 두드러집니다.

오늘(4일) CATL은 최근 잠정 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순이익 추정치를 전년 대비 20∼45% 늘어난 40억6천만∼49억1천만위안(6천864억∼8천294억 원)으로 제시했습니다.

반면 국내 배터리 3사는 지난해 나란히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LG화학은 배터리 사업에서 영업손실 4천543억 원을 기록했고,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은 실적이 소폭 개선됐으나 여전히 영업손실이 3천91억 원이었습니다. 삼성SDI도 중대형 전지 사업에서 최대 5천억 원대 적자를 냈을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상위권 업체들이 법정 다툼에 휘말린 사이 CATL은 정부의 배터리 사업 집중 육성을 발판으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이른바 '화이트리스트'를 통해 자국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 위주로 보조금을 지급해 왔으며, 배터리 업체 수가 2년 만에 절반으로 줄면서 CATL 등 상위권 업체에 지원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소송전이 이어지면서 CATL이 '어부지리' 격의 이득을 얻고 있다는 게 업계 평가입니다.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은 파우치형 배터리 제조사로 각형 배터리가 주력이던 중국 CATL도 최근 파우치형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앞서 LG화학은 작년 상반기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영업비밀 유출 소송을 제기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양사 모두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밖에도 LG화학과 삼성SDI는 ESS 화재 대응에 따른 일회성 비용을 작년 4분기에 각각 3천억 원, 2천억 원으로 반영하며 적자 규모를 키웠습니다.

다만 CATL에도 올해 들어 큰 악재가 생겼다. 가파르게 확산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입니다.

회사는 푸젠성, 칭하이성, 장쑤성에 있는 모든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으며, 10일 재개할 예정입니다.

특히 CATL은 생산물량 가운데 60% 정도를 내수 시장에 납품하고 있어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그런데도 업계 관계자는 "중국 완성차 공장도 가동 중단 상태여서 납기를 맞추는 데는 무리가 없을 것"이라며 "기업의 성장에는 큰 영향이 없지 않겠냐"고 전망했습니다.

국내 배터리 업체 가운데서는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이 중국 배터리 공장 가동을 멈췄고, 삼성SDI는 공장을 정상 가동 중입니다. 당장은 피해가 중국 공장 가동 중단에 그쳤지만, 신종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중국 소재 수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MBN 온라인 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