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외교부, 우한 잔류교민 지원 검토…"총영사관 철수계획 없다"
입력 2020-02-02 15:05  | 수정 2020-02-09 16:0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원지인 우한(武漢) 등 중국 후베이(湖北)성 일대에 한국 교민과 가족 120여 명이 잔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정부는 지원 대책을 고심중입니다.

정부는 앞서 두 차례에 걸쳐 전세기를 투입해 우한 등에 고립돼있던 교민 700여 명을 귀국시켰지만, 후베이성 봉쇄 지역에는 영유아와 어린이, 임신부 등을 포함한 한국민과 가족이 120여 명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들 대부분은 한국민이지만 일부는 중국 국적을 가진 배우자 등입니다.

후베이성 한인회가 진행한 전수 조사 결과에 따르면, 1일 오전 0시 기준으로 우한에 머무르는 이들이 85명으로 가장 많았고 나머지는 우한시 바깥의 외곽 도시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5세 미만 영유아가 15명, 6∼13세 어린이가 9명이었습니다. 임신부도 2명이 있습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일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외교부에서 교민들 의견을 듣고 있는데 아직은 추가로 입국을 신청한 부분들이 정리되지 않은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현지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면서 추가 항공편 투입 여부 등을 검토해나간다는 입장입니다. 물품 지원 방안 등도 고민하고 있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잔류를 택한 교민과 가족들이 분유·마스크, 소독제 등 지원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 일단은 "상황을 추가로 파악해야 한다"면서도 "당연히 (지원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한 총영사관 철수 등의 계획은 아직 없다는 점도 명확히 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우한에 아직 우리 교민들이 남아있다. 그분들이 유학생이나 (일시적으로 생활하는) 그런 분들이 아니라 생업이 있어서 남아있는 분들이 대부분"이라며 "그분들은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