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뉴욕증시, 신종 코로나 주시하며 지표 호조 안도…다우 0.66% 상승
입력 2020-01-29 08:25  | 수정 2020-02-05 09:05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상황을 주시하는 가운데, 양호한 경제 지표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미국 현지시간으로 오늘(28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87.05포인트(0.66%) 상승한 28,722.85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2.61포인트(1.01%) 오른 3,276.2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130.37포인트(1.43%) 급등한 9,269.68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시장은 신종 코로나 감염증인 이른바 '우한 폐렴' 사태와 주요 경제 지표, 기업 실적 등을 주시했습니다.


주요 지수는 폐렴 확산 공포로 전일 지난해 10월 이후 약 3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하는 등 극심한 불안에 노출됐습니다. 다우지수는 전일 연초 이후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는 등 급락했습니다.

낙폭이 컸던 만큼 이날은 주요 지수가 낙폭을 회복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폐렴 확산에 대한 우려는 지속했습니다. 폐렴 사망자가 100명을 넘어섰고, 감염자는 4천 명을 훌쩍 뛰어넘었습니다.

중국 당국은 인구 이동 억제를 위해 춘제(春節·중국의 설) 연휴를 연장하는 등 비상 대응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여행 경보를 '여행 재고'로 올렸고, 중국으로의 출장 등을 제한하는 글로벌 기업도 줄을 잇고 있습니다.

미국 유나이티드항공은 다음 달 초부터 일부 중국과 홍콩행 항공편을 일시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경제방송 CNBC는 백악관이 미국인의 중국 여행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보도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이런 조치들이 중국 및 글로벌 경제에 타격을 가할 것이란 우려가 팽배합니다.

다만 이날 나온 미 경제 지표가 대체로 양호했던 점은 시장에 안도감을 제공했습니다.

콘퍼런스보드는 1월 소비자신뢰지수가 전달의 128.2에서 131.6으로 올랐다고 발표했습니다. 시장 예상 128.0을 넘어서며 견조한 소비 여건을 재확인했습니다.

코어로직 케이스-실러가 발표한 11월 전미주택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2% 상승했습니다. 전년 대비로는 3.5% 상승하며 주택 가격 상승세가 유지됐습니다.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1월 제조업지수도 전월 마이너스(-) 5에서 20으로올라, 시장 예상을 상회했습니다.

미 상무부는 12월 내구재수주 실적이 전월 대비 2.4%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시장 전망을 큰 폭 웃돌았습니다. 하지만 이는 국방 관련 수주가 급증한 영향으로 풀이됐습니다. 12월 국방을 제외한 내구재수주는 2.5% 감소했습니다.

또 기업 투자 지표인 항공기를 제외한 비국방 자본재 수주는 12월에 전월 대비 0.9%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4월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로, 미국 제조업 상황이 여전히 불안하다는 우려를 자극했습니다.

기업들의 실적은 엇갈렸습니다.

이날 실적을 발표한 주요 대기업 3M과 화이자의 순익이 시장 예상에 못 미쳤습니다.

반면 유나이티드테크놀로지는 시장 예상보다 양호한 순익과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팩트셋에 따르면 이날까지 실적을 발표한 S&P 500 기업 중 67%가량이 시장 예상을 웃도는 순익을 발표했습니다. 예상 대비 순익 상회율은 지난주 70%를 넘었던 데서 다소 하락했습니다.

투자자들은 또 다음날 발표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도 촉각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주장을 재차 내놨습니다.

이날 종목별로는 애플 주가가 실적 발표를 앞두고 2.8% 오르며 장을 이끌었습니다. 3M은 5.7%, 화이자는 5% 각각 하락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전 업종이 오른 가운데 기술주가 1.87% 상승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은 1.18% 올랐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이날 시장이 진정됐지만,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은 여전하다고 진단했습니다.

US뱅크 웰스 매니지먼트의 테리 샌드벤 수석 주식 전략가는 "코로나바이러스와 글로벌 경제의 성장 속도, 밸류에이션 등으로 인해 걱정의 벽이 다시 세워지고 있다"면서"주가가 전일 투매에 이어 올랐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최소한 향후 몇 주는 지금의 변동성이 예외적이기보다는 일반적인 것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F 금리선물 시장은 1월 25bp 기준 금리인상 가능성을 12.7% 반영했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10.7% 하락한 16.28을 기록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