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금감원 `전문감독관제` 신설…직무별 스페셜리스트 양성
입력 2020-01-28 17:54 
금융감독원이 특정 직무별 전문성을 키우기 위한 직군제를 일부 반영해 '전문감독관'을 새롭게 도입한다. 전문감독관으로 선발되면 업권·직무별 순환 보직 인사에서 제외되고, 자신만의 전공을 정해 한 우물을 파는 일종의 '스페셜 리스트'로 육성된다.
금감원은 지난 설 연휴 직전에 선임조사역(4급) 5년차 이상 직원들을 대상으로 전문감독관 신청 접수를 했다. 통상 금감원 대졸 신입사원인 5급 조사역이 입사 5년 후에 선임조사역으로 승진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입사 10년차 이상 직원이 대상이 된 셈이다. 금감원 인적자원개발실은 지원자를 대상으로 면접 등을 거쳐 총 30여 명을 전문감독관으로 선발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전문감독관 제도를 통해 직원들의 업무 전문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모집 직무는 정보기술(IT)·리스크·제재·업권별 검사 등 10여 개로 나뉘었고 필요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그동안 금감원은 은행, 보험, 여신, 자본시장 등 업권별 검사·감독국과 각종 직무 부서에 2~3년에 한 번씩 발령을 내는 순환제를 실시해왔다. 특정 직원과 업체의 유착을 막는다는 등 목적이 있었지만 담당 업무가 자주 바뀌다 보니 업무 전문성이 충분히 길러지지 않는다는 우려가 안팎에서 제기됐다. 이에 윤석헌 금감원장은 지난해 3월 업무계획을 통해 직군제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내부에서 전면적인 직군제 도입에 대한 반대 의견도 제기되면서 전문감독관 제도를 도입하게 됐다.
처음 실시하는 제도인 만큼 전문감독관에겐 월 30만~50만원 수준의 수당이 인센티브로 지급된다. 인사 고과와 승진 체계도 별도로 운영된다. 일반 직원이 조사역-선임조사역-수석조사역-팀장-부국장-국실장으로 승진하는 반면 이 제도에서는 전문감독관-책임전문감독관-수석전문관 등 3단계 승진 체계를 갖는다. 통상 팀장부터는 관리자 역할을 해 실무에서 멀어지지만 전문감독관은 계속 해당 직무의 실무를 담당한다는 것도 차이점이다.
전문감독관제 도입이 금감원 내의 고질적인 인사 적체 문제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한 금감원 관계자는 "업무 전문가를 키우자는 취지가 크지만 조직 문화에 활력을 주고 갈수록 승진이 늦어지는 내부 인사 문제를 일부 해결하는 효과도 있을 것"이라며 "우수한 직원을 키워주는 긍정적 측면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주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