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이 시각 대검찰청] '올 것이 왔다' 일선 검찰은 잠잠…원탁 치운 윤석열
입력 2020-01-21 19:30  | 수정 2020-01-21 20:10
【 앵커멘트 】
13곳 직접수사부서 폐지를 골자로 한 검찰 직제개편안이 확정되면서, 중간 간부 인사의 방향은 사실상 결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대검찰청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이야기 들어봅니다.

【 질문1 】
임성재 기자, 지난해 윤석열 체제가 출범하면서 한 인사에서 약진한 이른바 '특수통 검사'들은 불만이 많을 것 같은데요?

【 기자 】
확정된 직제개편안은 '형사·공판부 강화'와 '직접수사 축소'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실제 법무부는 민생과 직결된 업무에 전념해 온 검사들을 우대하겠단 뜻을 밝히기도 했는데요.

검찰 안팎에선 지난해 인사에서 이른바 '윤석열 사단', '특수통 검사'들을 핵심 요직에 전면 배치한 게 자충수였단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주요 보직에 오르지 못한 인사 대상자들이 그동안 소외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단 건데요.

이런 이유로 지난해 인사가 추 장관발 '인사 태풍'의 시작이자, 검찰 스스로 드러내 놓고 현재 인사 방향에 반발하지 못하는 명분이 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오늘 국무회의에선 직제개편뿐 아니라 윤 총장을 압박하는 또 하나의 카드가 공개됐습니다.

그동안의 관행과 달리 특별수사단 등 비직제 수사조직을 설치하기 위해선 법무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단 규정이 신설된 겁니다.

검찰의 직접수사를 축소하는 또 다른 규정으로 윤 총장의 손발이 묶였단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 질문2 】
검찰에 대한 압박이 커지고 있는데, 윤 총장의 업무 환경에도 작은 변화가 있었다고요?

【 기자 】
네, 지난 8일 검찰 고위 간부 인사 뒤 윤 총장은 집무실에 있는 원탁과 의자를 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런 윤 총장의 결정은 대검 신임 참모들에겐 일종의 메시지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조국 전 장관 수사, 청와대 선거개입 의혹 등 현안을 두고 장시간 회의를 하던 참모들이 교체되자 '짧은 보고식'으로 회의 방식을 바꾼 게 아니냔 겁니다.

대검 관계자는 "고위 간부 인사 뒤 원탁을 치운 건 맞지만, 업무와 연계시키는 것은 억측"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

그럼에도 옛 참모들과 자주 갖던 전체회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알려져 윤 총장이 새 참모진을 대하는 태도에 변화가 있단 해석은 여전합니다.

지금까지 대검찰청에서 MBN뉴스 임성재입니다.

현장중계 : 조병학 PD
영상편집 : 송현주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