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붉은 수돗물` 재발 방지 위해 유역수도지원센터 출범…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와 연계
입력 2020-01-21 16:23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수돗물 사고 체계적 대응을 위한 유역수도지원센터가 오는 22일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유역수도지원센터는 지난 5월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로 불거진 지방 상수도 시설 관리 문제를 개선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21일 유역수도지원센터가 오는 22일 경기 과천의 한국수자원공사 한강권역본부 대회의실에서 출범식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환경부 장관이 설치한 해당 센터는 한국수자원공사가 운영을 대행하고 있으며 한강을 포함해 낙동강, 금강, 영산강·섬진강 유역에 1개소씩 설치됐다.

100세대 이상인 수돗물 사고 발생시 센터는 지방자치단체 수도사업본부장의 요청에 따라 유역(지방)환경청을 인적·기술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피해 규모가 300세대 이상인 사고가 발생할 때는 지자체장의 요청에 따라 현장 수습 조정관을 파견하고 필요시 센터내 전문 인력을 투입해 사고 원인을 분석하고 수습 활동을 지원한다.
센터는 또 2020년부터 전국에 구축되는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와 연계해 수돗물 사고를 감시하며 평상시에는 수도 계획 수립, 시설 진단 등 상수도 전반에 걸친 전문 기술을 지자체에 지원할 예정이다.
조석훈 환경부 물이용기획과장은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 때에는 지방자치단체가 민원 해결에 급급하다 보니 체계적으로 대응 계획을 수립하지 못하다가 사태가 장기화했다"며 "수도 관련 노하우를 가진 센터가 자문해주거나 지자체가 미리 컨설팅을 받으면 인천 사고는 재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서주희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