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가로주택정비사업 붐…재개발·재건축 대안 부상
입력 2020-01-19 18:10 
최근 각종 규제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 일거리가 줄어들면서 '미니 재건축'으로 불리는 가로주택정비사업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19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GS건설의 자회사 자이S&D는 최근 대구 수성구 수성동1가 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과 482억원 규모 공사계약을 체결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4월에도 서울 서초구 낙원·청광연립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현재 서울에만 90여 곳에서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현대건설은 지난달 서울 성북구 장위11-2구역 가로주택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뽑혔다. 같은 달 동부건설은 영등포동2가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됐다. 대림산업도 자회사인 고려개발과 삼호를 통해 관련 사업에 나서고 있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6m 이상 도로 등으로 둘러싸인 곳의 소규모 노후 저층 주거지를 대상으로 하는 도시재생 사업이다. 대규모 철거 없이 도로나 기반시설 등을 유지하면서 노후 단독주택과 빌라 등을 허물고 다시 새 집을 짓는다. 재개발과 재건축은 완공까지 보통 10년가량 소요되지만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사업기간이 2~3년으로 짧다.
정부는 부작용이 많은 대형 정비사업 대신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상반기 중 서울 등 투기과열지구에서도 가로주택정비사업 사업면적을 기존 '1만㎡ 이하'에서 '2만㎡ 이하'로 확대할 계획이다. 임대주택 10% 건설 등 공공성 요건을 갖추면 분양가상한제 적용 대상에서도 제외할 방침이다.
이 같은 분위기에 힘입어 최근 정비구역에서 해제된 지역에서 가로주택정비사업 추진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장위15-1구역, 장위11-2구역 등은 시공사 선정을 진행 중이다. 장위15-1구역, 장위11-2구역 등은 시공사 선정을 진행 중이다. 장위8-1·8-2·11-1·11-6구역 등에서도 최근 추진위가 꾸려지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가로주택정비사업은 공급 가구 수가 적어 서울 주택 공급 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공공성 요건을 만족시켜 사업면적을 넓히고 층수 제한을 완화해 15층까지 세울 수 있는 사업장은 서울에서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