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대, 성적장학금 유지했지만...
입력 2020-01-19 14:18 

서울대학교가 학내에서 논란이 된 '성적장학금 전면 폐지' 방침을 철회하는 방안을 담은 새로운 장학제도를 마련했다.
19일 서울대 등에 따르면 올해 1학기부터 기존의 성적장학금 제도가 '맞춤형 장학금'에 편입돼 유지된다. 맞춤형 장학금 대상자 선정에 성적 기준을 포함하는 아이디어는 총학생회의 직무를 대행하는 자치 기구인 단과대 학생회장 연석회의 측에서 내놓은 것으로 학교 본부 측이 이를 수용한 셈이다.
해당 제도는 학업 성취도와 소득 수준을 고려해 장학금 대상을 선정한다. 학과별 성적 상위 5% 이내 학생, 성적이 급등한 학생, 소득 8분위 이내 학생 중 국가장학금 미수혜자, 사회적 배려 대상 등이 장학금 혜택을 받게 된다.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돕기 위한 장학금 지원책들도 다수 마련됐다. 긴급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학생들을 지원하는 '긴급구호 장학금'이 신설됐고, '선한인재 장학금' 지원 대상도 소득 2분위까지(기존 1분위까지)로 확대된다. 근로장학생 인원과 시급을 확대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성적장학금 폐지 논란은 지난해 9월 오세정 서울대 총장이 한 언론 인터뷰에서 성적우수장학금 폐지 기조를 밝히면서부터 불거졌다. 실제로 서울대는 연간 66억원 규모의 재학생 성적우수장학금을 폐지하고, 소득 하위 80% 가구에 속하는 학생 전원에게 등록금 전액을 지원해주는 방안을 추진했다. 하지만 학내에서 반발이 거세게 일었고, 연석회의 차원에서 설문조사를 진행해 성적장학금 유지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연석회의 관계자는 "성적장학금 전면 폐지를 제안했던 대학 본부에 항의 의사를 전달했다"며 "본부 측과 협의해 성적 및 가계 형편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교내장학제도 개편안을 도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성적우수 장학금이 유지되지만 수혜자가 대폭 줄었다는 지적이 학내에서 나온다. 익명의 한 서울대 재학생은 "20명이 정원인 학과는 기존에 3명이 성적장학금을 받았는데 개정안에 따르면 1명만 받게 된다"라며 "진짜 입막음용이라는 생각밖에 안 든다"고 토로했다.
[박윤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