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값, '중동 위기' 영향받아 6년여만 최고치 올라
입력 2020-01-08 11:13  | 수정 2020-01-15 12:05

미국과 이란의 갈등으로 중동 지역의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안전 자산인 금값이 올해 내내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미국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스위스 투자은행 UBS의 조니 테베스와 제임스 맬컴 애널리스트는 현지시간으로 오늘(7일) 투자자 메모에서 올해 금 시세가 트로이온스(31.1035g)당 1천600달러(약 187만 원) 안팎에서 움직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2월 인도분 금은 전날보다 0.4% 오른 온스당 1천574.30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는 지난 2013년 4월 2일(1천604.30달러) 이후 6년 9개월여 만의 최고치입니다.

이들 애널리스트는 달러 약세와 저금리가 지속하면 금값 상승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금 시세는 달러화 가치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 데다, 저금리 시대에는 금 등 실물자산이 현금보다 유리할 수 있다는 점이 이들의 판단 근거입니다.

이런 판단은 이미 시장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선물거래 시장에선 작년 12월 31일 기준 금 선물 롱(매수) 포지션 계약 건수가 작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해 금값 상승에 베팅하는 투자 흐름을 보여줬습니다.

ING의 원자재 전략 책임자 워런 패터슨은 지난 3일 미국의 드론 공습으로 가셈 솔레이마니 이란 쿠드스군(이란혁명수비대 정예군) 사령관이 숨지면서 중동 지역의 긴장이 고조된 상황을 고려할 때 현재는 롱 포지션 계약이 더 늘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섣불리 금 상승에 올인할 상황은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맥쿼리의 원자재 전략가들은 이날 투자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과거의 지정학적 위험은 지속적인 금값 강세를 뒷받침하기에 충분치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