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폼페이오 "미국, 김정은 비핵화 약속에 이를 대화에 여전히 희망적"
입력 2020-01-08 08:21 
[AP = 연합뉴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7일(현지시간) 북한과의 협상에 "여전히 희망적"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북한의 대미압박용 강경행보를 저지하기 위한 협상기조 재확인 차원으로 풀이된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대선이 있는 해이고 이란과 북한이라는 두가지 핵 관련 위기에 직면했는데 해결에 낙관적이냐'는 질문을 받자 "북한에 대해서 우리는 길을 나설 수 있을 것이라는 데 여전히 희망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의 '성탄선물' 전망과 관련해 의견이 분분했으나 실제로 일어나지는 않았다"면서 "우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2018년에 했던 비핵화 약속에 어떻게 이를 것인지에 대해 대화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데 여전히 희망적이고 관여돼 있다"고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발언은 북한이 '새 전략무기 공개와 충격적 실제행동'을 공언한 가운데 미국의 협상기조를 다시 확인하며 도발 자제를 촉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AP = 연합뉴스]
폼페이오 장관은 이란 혁명수비대의 정예부대 쿠드스군의 가셈 솔레이마니 사령관에 대한 공습이 대이란 최대압박 작전의 일환이냐는 질문에 "(최대압박에) 외교적, 경제적, 군사적 요소가 있다"며 그렇다는 취지로 답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2018년 5월 우리가 이란 핵합의에서 탈퇴한 이래 우리는 거대한 힘과 에너지로 (최대압박을) 시행했다"며 외교적 공조체제와 경제제재를 통해 이란을 압박해왔음을 설명했다.
이어 "더 전술적으로 지난 며칠간 이란이 미국인을 살해하는 나쁜 결정에 대한 대통령의 대응도 있었다"면서 "우리는 그들(이란)이 그런 결정을 또 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답변했다.
솔레이마니 사령관 사살이 대이란 최대압박의 군사적 측면에서 이뤄진 것이라는 식의 설명을 내놓은 셈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솔레이마니 공습이 최대압박의 일환이고 솔레이마니 공습 같은 유사한 조치가 최대압박 작전의 특성으로서 이어질 수 있음을 이란이 알아야 한다는 것이냐'는 질문에 "이란이 또다른 나쁜 선택을 할 경우 대통령은 지난주에 한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