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민간교류`만 강조한 아베, 강제징용 문제는 여전히…
입력 2020-01-02 15:43 
[사진 출처 = 연합 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달 24일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한일 민간교류를 지속해야 한다는 점에 동의했다고 지난 1일 밝혔다.
아베 총리는 1일 방송한 TV아사히와 인터뷰에서 "(한일 양국은) 이웃 국가이기 때문에 이해관계가 부딪칠 때도 있지만, 민간교류는 계속해야 한다는 것을 (한일 정상회담 때) 강하게 주장했다"며 "그 점에 대해서는 문 대통령도 동의해줬다"고 전했다.
그는 "한일은 이웃 국가로 중요한 관계"라며 "특히, 북한정세가 긴박해지고 있어 일한, 한미일 간 협력이 당연히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한일 갈등 핵심 현안인 일제 강제징용 문제는 한국 측이 1965년에 체결된 한일청구권협정을 준수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아베 총리는 "일본과 한국의 전후 관계의 시작은 1965년 일한 기본조약인 청구권협정"이라며 "일본과 한국 간에 중요한, 이 조약을 기초로 일한 관계가 발전해왔다. 그러나 그 기초가 붕괴하는 것과 같은,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한국 측에 한일관계를 건전한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달라고 말했다"면서 "상호 주장이 있기 때문에 당연히 회담 자체는 긴장된 분위기일 때도 있었지만, 상호 간에 대화를 통해 해결하자는 점에선 일치했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문 대통령에 대해 "매우 언행이 부드러운 신사"라고 평가하면서 "꼭 (한일 간) 현안을 해결해서 양국 정상이 더 자주 다양한 과제에 대해, 더 긍정적인 과제에 대해 대화할 수 있는 상황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아울러 그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도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 등의 해결을 위해 전제조건 없이 만나 회담하고 싶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정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