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건설사들이 연초 목표치에 훨씬 못 미치는 분양 실적으로 울상이다. 정부가 손을 대면 댈수록 급등하는 부동산 시장을 안정화한다며 각종 정책을 쏟아내고 재건축·재개발 위주 사업장이 많아지면서 분양가 산정 갈등이 심화된 것이 핵심 원인으로 꼽힌다.
20일 매일경제신문이 주요 건설사 28곳을 대상으로 올해 초 목표한 분양 가구 수 대비 실제 분양 가구 수를 비교한 결과 분양계획 물량 총 23만2499가구 중에서 15만7820가구가 공급돼 목표치의 67%에 불과했다. 각 건설사의 실제 공급률을 단순 평균한 수치는 63.7%로 더욱 저조했다. 특히 대기업을 제외한 건설사 16곳 평균 공급률은 54.5%에 불과했다. 심지어 9곳은 목표치를 절반도 달성하지 못했다. 부동산 정보업체 리얼투데이가 지난해 12월 초 건설사 64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9년 분양 목표치 대비 올해 공급 가구 수를 비교한 결과는 40.5%로 집계됐다. 작년 말 조사보다 연초 계획이 하향 조정됐을 가능성을 감안해도 올해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특히 주택사업에 집중해온 중견 건설사들은 올해 최악의 시기를 견뎌야 했다. 경기 둔화 여파로 강원, 충청, 제주 등 지방 시장이 침체되자 분양을 연기했을 뿐 아니라 대형 건설사들이 이전에는 쳐다보지도 않던 지방까지 넘보는 바람에 시공권을 뺏기는 중견 건설사도 속출했다. 반도건설, 중흥건설, 동문건설, 동양건설산업 등은 모두 분양 목표 물량을 절반도 채우지 못했을 정도다.
민간 도급사업이나 택지지구 물량이 귀해지고 아파트 등 공동주택이 노후화되면서 정비 위주로 사업이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사업시행자(조합)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가 통제에 이어 지방자치단체 개입이 더해져 갈등이 심화되며 사업이 늘어지는 것도 한 요인으로 지목된다.
경기도 과천시 첫 공공택지인 과천지식정보타운 분양 지연이 대표적이다. 당초 5월 분양을 시작으로 순차적 공급에 나설 예정이었지만 고분양가 논란으로 연내 분양이 물 건너갔다.
대기업들도 상황은 비슷했다. 주택사업 비중이 높은 GS건설은 목표한 분양 물량 2만8837가구 중에서 57.6%인 1만6617가구를 공급하는 데 그쳤다. 현대건설이 올 목표치 1만6246가구 중 78%(1만2763가구)를 달성하고, 대림산업이 올 초 2만1245가구 가운데 79.2%(1만6843가구)를 달성한 게 선방한 축에 속한다. 대우건설도 올 초 분양계획 물량 2만5707가구 중에서 80%(1만7203가구)를 달성했다. 순수 일반분양분만 치면 2만3153가구 중 1만7203가구로 74%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분양가 심의 강화 등 여러 부동산 정책의 영향으로 정비사업뿐 아니라 전반적인 주택사업 일정이 지연됐다"며 "최근 대출 규제를 포함한 12·16 대책에 내년에는 분양가상한제가 본격 시행될 예정이라 내년 사업 계획을 세우기가 더욱 힘들어졌다"고 말했다.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시장 양극화가 심화돼 지방 사업장에서는 시황이 악화되면 내년에 또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목표 달성률이 높은 건설사들은 애초에 분양 물량 자체가 많지 않거나 비규제 지역이나 안전한 곳만 분양을 진행하는 등 극히 보수적으로 계획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한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일 매일경제신문이 주요 건설사 28곳을 대상으로 올해 초 목표한 분양 가구 수 대비 실제 분양 가구 수를 비교한 결과 분양계획 물량 총 23만2499가구 중에서 15만7820가구가 공급돼 목표치의 67%에 불과했다. 각 건설사의 실제 공급률을 단순 평균한 수치는 63.7%로 더욱 저조했다. 특히 대기업을 제외한 건설사 16곳 평균 공급률은 54.5%에 불과했다. 심지어 9곳은 목표치를 절반도 달성하지 못했다. 부동산 정보업체 리얼투데이가 지난해 12월 초 건설사 64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9년 분양 목표치 대비 올해 공급 가구 수를 비교한 결과는 40.5%로 집계됐다. 작년 말 조사보다 연초 계획이 하향 조정됐을 가능성을 감안해도 올해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특히 주택사업에 집중해온 중견 건설사들은 올해 최악의 시기를 견뎌야 했다. 경기 둔화 여파로 강원, 충청, 제주 등 지방 시장이 침체되자 분양을 연기했을 뿐 아니라 대형 건설사들이 이전에는 쳐다보지도 않던 지방까지 넘보는 바람에 시공권을 뺏기는 중견 건설사도 속출했다. 반도건설, 중흥건설, 동문건설, 동양건설산업 등은 모두 분양 목표 물량을 절반도 채우지 못했을 정도다.
민간 도급사업이나 택지지구 물량이 귀해지고 아파트 등 공동주택이 노후화되면서 정비 위주로 사업이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사업시행자(조합)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가 통제에 이어 지방자치단체 개입이 더해져 갈등이 심화되며 사업이 늘어지는 것도 한 요인으로 지목된다.
경기도 과천시 첫 공공택지인 과천지식정보타운 분양 지연이 대표적이다. 당초 5월 분양을 시작으로 순차적 공급에 나설 예정이었지만 고분양가 논란으로 연내 분양이 물 건너갔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분양가 심의 강화 등 여러 부동산 정책의 영향으로 정비사업뿐 아니라 전반적인 주택사업 일정이 지연됐다"며 "최근 대출 규제를 포함한 12·16 대책에 내년에는 분양가상한제가 본격 시행될 예정이라 내년 사업 계획을 세우기가 더욱 힘들어졌다"고 말했다.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시장 양극화가 심화돼 지방 사업장에서는 시황이 악화되면 내년에 또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목표 달성률이 높은 건설사들은 애초에 분양 물량 자체가 많지 않거나 비규제 지역이나 안전한 곳만 분양을 진행하는 등 극히 보수적으로 계획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한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