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4+1(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정의당·평화당+대안신당) 협의체가 연동형 비례대표 선거법 협상의 끈을 놓지 않자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이 어제(19일) '비례한국당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한국당 심재철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만일 연동형 비례대표 선거제를 밀어붙인다면 우리는 '비례한국당'을 만들 수밖에 없음을 미리 말씀드린다"며 '위성 정당' 등장 가능성을 공개 시사했습니다.
여야 4+1은 일단 ▲ 지역구 250석·비례대표 50석 ▲ 연동률 50% ▲ 연동형 적용 대상 비례대표 상한(cap) 30석 등을 내용으로 하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의견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민주당, 한국당 등 거대 정당 입장에서는 현행 선거법과 비교할 때 '의석수 손해'가 예상됩니다.
이에 한국당은 '비례한국당'을 공식화했습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 통과 시 한국당은 지역구에만 후보를 내고, 위성 정당 격인 '비례한국당'을 만들어 비례대표를 노린다는 것입니다.
선거운동에서도 '지역구는 한국당, 비례대표는 비례한국당' 등으로 분할 투표를 유도한다는 전략입니다.
이는 여야 4+1의 연동형 비례대표 선거법 강행 처리를 막기 위한 압박용으로 해석되지만, 한국당은 일찌감치 '비례한국당'의 출연에 따른 손익 계산 등을 했다는 후문입니다.
당 실무진에서도 위성 정당인 '비례한국당'을 만들 실무 절차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원영섭 조직부총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중앙선관위에 등록 직전 단계로, 당 지도부의 결정만 내려지면 당장 등록만 하면 된다"며 "하지만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 통과를 전제로 한 것이라 현재는 움직일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당 내부적으로는 위성 정당의 이름도 7∼8개 준비했다고 한다. 누가 봐도 한국당의 위성 정당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했다고 원 부총장은 전했습니다.
'비례한국당'으로의 한국당 의원 이동 규모는 총선에서 한국당이 '기호 2번'을 유지하면서도 '비례한국당'은 원내 3당에 오를 수 있을 만큼 상당한 규모를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 일각에선 비례대표 전원(17명)이 비례한국당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말도 나옵니다.
하지만 '군소정당 난립'을 명분으로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선거법 개정안을 반대해 온 한국당으로서는 '비례한국당 만들기'에 따른 여론의 역풍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선거법 개정안이 여야 4+1 협의체의 강행 처리되는 데 따른 대응 차원이라고는 하지만, 선거를 코앞에 두고 인위적으로 '위성정당' 또는 '2중대' 정당을 만드는 것이 꼼수에 불과하다는 지적입니다.
이같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여야 4+1 협의체에서 의견이 모인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적용될 경우 '비례한국당'을 포함한 한국당이 예상외로 선전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정치권 일각에서 나옵니다.
예컨대 '비례한국당'이 정당 득표율 20%를 기록하고, 다른 정당들이 직전 총선 득표율 또는 현 지지율과 비슷하게 득표한다고 할 경우 '비례한국당'은 20석 정도 비례대표 의석을 확보하는 계산이 나옵니다.
당장 '비례한국당'는 지역구 후보를 내지 않으므로 정당 득표율 20%, 연동률 50%에 따라 비례대표 30석(보정 전)을 확보한다는 단순 계산이 가능합니다.
구체적으로 연동형이 적용되는 비례대표 30석에서는 보정을 통해 16석가량을, 연동형이 적용되지 않는 비례대표 20석에서는 단순 배분을 통해 4석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당 일각에선 전희경 의원 등이 '비례한국당' 대표로 나서는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옵니다. 이 정당이 한국당과 별개가 아니라는 점을 유권자들에게 분명히 각인해야 하므로 인지도 높은 의원들이나 외부 유력 인사들의 '비례한국당 행(行)'이 거론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