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한현정의 직구리뷰] 남녀 아닌 관객 호불호 갈릴 ‘82년생 김지영’
입력 2019-10-15 07:01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한현정 기자]
목적지가 ‘위로와 응원인 건 알겠는데, 그 여정이 너무나 고단하다. 공감할 만한 일상이 담겼지만 몰입할수록 우울해진다. 누구나 알고 있는, 그럼에도 잊고 사는 소중한 가치에 대해 되짚기까지 상당한 인내심을 요구한다. 버티고 버텨내야 어깨 한 켠 잠시 내어주는, 영화 ‘82년생 김지영이다.
영화의 주인공은 ‘82년생 김지영이다. 1982년에 태어난 지영(정유미 분)은 2019년 현재,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해 아이를 낳고 살고 있다. 일을 그만두고 엄마로, 아내로, 딸로, 며느리로 사는 게 힘들긴 하지만 그래도 나름 ‘괜찮다고 여기며 하루하루를 보내던 중 언젠가부터 숨이 턱 막히고 가슴이 쿵 내려앉음을 느낀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때때로 다른 사람이 되어버리기도 한다.
이를 지켜보는 남편 대현(공유 분)은 이 사실을 지영에게 알리지 못한 채 괴로워한다. 어떻게든 지영을 본래의 모습으로 돌려놓고 싶지만 두렵기만 하다. 대현과 가족들은 지영의 아픔으로 인해 다시금 서로를 보듬고 지난날을 되짚는다.
원작은 100만 부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한 동명의 베스트셀러로 두터운 팬 층을 보유했지만 ‘여성 편향적이라는 평을 듣기도 했다. 영화는 원작의 뼈대를 유지하면서도 시야를 넓혔다. 주인공 지영뿐만 아니라 그녀를 둘러싼 주변 인물들의 비중을 높였고, ‘가족에 대한 이야기로 무게 중심을 옮기는 한편, 젠더 이슈를 다루는데 있어서는 보다 압축적이다.
지영의 삶을 따라가며 그녀를 둘러싼 가족, 직장 동료 등 다양한 인물들을 함께 조명하는데 이들 간 관계와 감정선의 묘사가 디테일하다. 차곡차곡 쌓여가는 감정들은 덤덤하고도 정적으로 묘사돼 일상성을 극대화시킨다.
이는 영화의 장점이자 단점. 가족극의 측면으로 봤을 때 이같은 섬세함과 느린 템포는 강점으로 작용한다. 특정 누군가의 잘못이 아닌 어쩔 수 없는 세대 간 문제나 입장, 경험의 차이에서 비롯된 시행착오, 그로 인한 갈등과 상처들을 밀도 있게 그려내는데 이를 따뜻한 사랑으로 극복하고 부딪혀 헤쳐 나가는 가족의 모습은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 특히 지영과 엄마 미숙(김미경 분)의 연대는 여성을 비롯한 모든 세대, 성별을 초월해 깊은 공감과 감동을 느끼게 한다.
반면 공감이 쌓여 주는 여운만큼, 거부감이 쌓여 주는 피로감 또한 상당하다. 출산 이후 여성이라면 어쩔 수 없이 겪게 되는 혼란과 아픔을 다루는 방식은 ‘워킹맘과 ‘전업주부라는 이분법적인 구도로 그려져 다소 몰입이 힘겹다. 게다가 남성과 여성의 상황 차이를 묘사하는데 있어서는 (가장 예민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몇몇의 에피소드에 기대 상징적으로 보여주는데 깊이감은 가족을 다루는 것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진다.
뜬금없는 몰카 에피소드나 분노를 부르는 직장 내 망언 상사, 고학력 전업주부들의 대화 등은 실제 존재하는 일이긴 하나 이 영화의 전체적인 흐름이나 메시지 전달에 효과적인 장치로 사용되진 못한다. 전체적인 톤과 어울리지 않는데다 다소 한쪽으로 치우친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가뜩이나 느리고 침울한데 분노까지 얹으니 관람 욕구가 반감될 수밖에.
이 모든 상황으로 인해 벌어진 비극은 다시금 가족이라는 근본적인 울타리 안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다. 지극히 나의, 또는 너의, 누군가의 이야기라 쉽게 빠져들지만 그만큼 특별한 위로도 없다. 담백한 일상성이 최대 무기인 반면, 영화적 쾌감이나 두드러진 영화적 미학 또한 없는 게 아쉽다.
따뜻한 위로가 기다리고 있지만 도달하기까지 적잖은 수고가 동반된다. 이 극한 여정을 굳이 돈을 내고 견딜 만한 대단한 응원이 담겼는지는, 극명한 호불호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23일 개봉한다. 12세 이상 관람가, 러닝타임 118분.
kiki2022@mk.co.kr[ⓒ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