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KAIST, 서울대 이어 표준연도 日 수출규제 대응위 출범
입력 2019-08-08 15:35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내부 모습. [사진 제공 = 삼성전자]

KAIST, 서울대가 일본의 수출 규제 대응을 위한 전문가 자문단을 꾸려 국내 기업 지원에 나선 데 이어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도 위원회를 출범하고 반도체와 첨단소재 품질평가 지원체계 등을 마련키로 했다.
표준연은 일본의 수출 규제 대응을 위한 컨트롤 타워로서 '일본 수출 규제 적극 대응 위원회'(가칭)를 출범했다고 8일 밝혔다. 위원장은 조성재 표준연 부원장이 맡았다. 표준연은 국가 측정표준 확립과 측정 과학기술 개발 등을 수행하는 공공연구기관이다. 일본의 경제 보복 문제가 불거진 후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 태스크포스(TF) 팀을 꾸린 건 이번이 처음이다.
표준연 대응위는 소재·부품·장비에 대한 신뢰성 평가 기술을 중심으로 지원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국내 기업이 일본의 수출 규제와 관련된 소재, 부품, 장비 등에 대한 교정, 시험, 성능 평가를 요청할 경우 이를 최우선적으로 처리하는 '패스트트랙'을 운영한다.
또 불화수소 등 반도체 공정가스와 반도체, 첨단소재의 품질과 신뢰성을 평가하는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웨이퍼 불순물 측정 분석 장비의 국산화를 위한 R&D를 추진할 계획이다. 표준연은 불화수소를 비롯한 고순도 가스의 품질 평가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화학연구원, 재료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소재·부품 분야 주요 공공연구기관 11곳을 대상으로 대전 유성구 한국화학연구원에서 긴급 간담회를 열고 '대외 의존형 산업구조 탈피를 위한 산업기술 연구개발(R&D) 제도 개선안'을 발표했다.
이 개선안에 따르면 정부는 수요-공급 기업 간 협력 기술 개발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핵심 원천기술의 조기 확보를 위해 소재·부품 분야에 한해 정부가 연구 과제와 연구 수행자를 지정해 신속하게 R&D를 추진하는 '정책 지정 제도'를 도입한다. 그 밖에 연구 방식의 유연화, 도전적 R&D 장려, 연구자 행정 부담 완화 등이 담겼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정부는 이달 5일 발표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의 후속 조치로서 혁신본부를 중심으로 '범부처 소재·부품 R&D 종합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KAIST는 지난 5일부터 국내 기업들의 핵심 소재·부품·장비 원천기술 개발을 돕기 위해 전·현직 교수 100여 명으로 구성된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KAMP)'을 가동 중이다. 위원장은 최성율 KAIST 공과대학 부학장이 맡았다. 뒤 이어 지난 7일에는 서울대 공대도 일본의 수출 규제에 맞서 국내 기업들의 소재·기술 국산화를 도울 특별자문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화학소재 등 6개 분야 공대 교수 320명이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상담을 진행한다.
[송경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