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3년 동안 서울 집값이 크게 오른 반면 전세시장은 안정세를 유지하면서 전세가율이 7년 전 수준으로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가율 하락이 행여 실수요자의 매매전환 감소와 투자수요의 시장 유입 방해요소로 작용할 지 업계는 우려섞인 시선으로 지켜보고 있다.
3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서울의 평균 전세가율은 53.60%로 7년 전인 2012년(52.61%) 수준에 근접했다. 고점을 형성했던 2015년 70.92%에 비하면 17.32%포인트나 떨어진 수준이다. 이는 지난해부터 서울 등 수도권 입주물량이 늘어나면서 전세가격 안정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만 서울 구별 전세가율은 지역에 따라 편차가 컸다. 지난해까지 서울 매매가격 상승을 이끌었던 강남4구(44.15%~50.28%)와 ▲마포(58.23%) ▲용산(47.35%) ▲성동(57.27%) 등 마·용·성을 중심으로 전세가율이 낮게 형성돼 있다. 반면 ▲중랑구(69.69%) ▲강북구(66.61%) ▲구로구(66.15%) ▲관악구(65.68%) 등은 상대적으로 전세가율이 높은 편이다.
전세가격은 매매시장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에 근접하면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이 활발해지면서 매매시장이 상승폭을 확대하는 기폭제로 작용한다.
반면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의 절반 수준(전세가율 50~60%)에서 움직인다면 실수요자는 내 집 마련에 소극적이 된다. 전세가율이 낮으면 낮을수록 매매전환에 투입되는 비용 부담은 상대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윤지해 수석연구원은 "최근 서울 강남권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바닥을 다졌다는 평가와 함께 집값이 반등에 나서는 분위기"라면서도 "하지만 전세가율이 현재처럼 50%대로 낮아져 있는 상황에서는 매매가격이 과거처럼 상승폭을 확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