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미북정상회담] 은행권, 회담 결과 예의주시…남북경협 `신중모드` 바뀌나
입력 2019-02-27 10:21 

2차 미북정상회담이 27~28일 1박 2일 일정으로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은행권에서는 일단 남북경제협력사업(남북경협)을 검토, 신중한 태도를 취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남북정상 회담 직후만 하더라도 각 은행들은 남북 경제교류 확대를 전제로 연구조직을 꾸리고, 다양한 사업들을 점검 했지만 대북제재가 풀리지 않은 상황에서 자칫 '세컨더리 보이콧'에 휘말릴 수 있다는 부담감이 적지 않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국책은행을 중심으로 남북경협 조직을 경쟁적으로 확대했던 은행들은 내부스터디 외에 이렇다 할 움직임이 없다. 그러나 2차 미북협상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흘러나오면서 촉각을 세우고 있다.
IBK기업은행,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들은 2차 미북정상회담의 결과를 지켜본 뒤 논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기업은행은 남북경협지원위원회를 개최하고 이번 미북정상회담 개최 결과와 향후 남북경협에 미칠 영향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지난해 IBK경제연구소 내 북한경제연구센터를 만들고, 기존 임원 직속 회의체인 통일준비위원회를 남북경협지원위원회로 개편했다.
산업은행도 지난해 기존 통일사업부를 한반도 신경제센터로 개편한 후 14명의 인력을 배치했다. 현재 남북경협연구단과 개발금융팀, 북한동북아팀을 운영하고 있다.
수출입은행은 지난해 북한 동북아연구센터에 박사급 인력 2명을 충원하는 등 총 8명으로 센터를 운영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북제재가 풀리지 않은 상태라 구체적인 계획을 만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도 "2차 미북정상회담이 남북관계에 변화를 줄 만한 이슈가 나올지, 예의주시 하고 있다. 회담결과에 따라 액션플랜을 차질없이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KB·하나·우리은행 등 시중은행에서는 더욱 더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지난해 9월 미국 재무부가 국내은행 7곳과 진행한 컨퍼런스콜에서 남북경협 프로젝트가 대북제재를 준수하고 있는지, 관심있게 보면서 대북 관련사업 추진이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하지만 향후 대북제재가 풀려 남북경협으로 이어질 경우 철도, 항만, 도로, 통신 등 기반시설 관련 인프라금융 지원 역할을 예상할 수 있다.
또 대북사업 플랜으로 '마이크로파이낸스'를 활용한 진출 방식도 꾀할 수 있다. 저소득층을 위한 무담보 소액대출을 뜻하는 마이크로파이낸스는 북한 내에서도 수요가 있는 만큼 이 제도가 정식으로 도입될 경우 국내 은행 입장에서는 중요한 사업 기회가 될 전망이다.
[디지털뉴스국 류영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