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민 10명 중 8명은 만성질환으로 죽는다
입력 2018-12-20 11:20 

국민 10명 중 8명은 심혈관질환이나 암, 당뇨 등 만성질환(비감염성 질환) 탓에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질병관리본부가 발간한 '2018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6년을 기준으로 만성질환에 의한 사망 비율은 전체 사망의 80.8%로 집계됐다.
특히 전체 사망 원인의 상위 10개 중 7개가 만성질환으로 나타났다. 1위는 암으로 27.8%, 2위는 심장질환 10.6%, 3위 뇌혈관질환 8.3%였다. 나머지 당뇨병과 만성하기도질환, 간질환, 고혈압성 질환 등의 만성질환도 10대 사망 원인에 이름을 올렸다. 만성질환을 제외한 사망 원인은 폐렴, 자살, 교통사고 등이다. 만성질환 중에서는 심뇌혈관 질환과 당뇨병, 만성호흡기 질환, 암 등이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71%를 차지했다.
만성질환 사망 위험은 높아지고 있지만 주요 만성질환 원인인 흡연과 음주, 신체활동, 식습관 등 건강생활습관 개선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흡연율은 2007년 25.3%에서 2016년 23.9%로 소폭 떨어졌지만 걷기 실천율은 5.7%에서 39.6%로 감소했다. 특히 에너지 과잉섭취 비율은 이 기간 12.5%에서 21.1%로 크게 올랐고 고위험 음주율 역시 12.5%에서 13.8%로 상승했다.
고혈압과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비만 등은 적절히 관리하면 심근경색증이나 뇌졸중 같은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지는 걸 예방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치료율과 합병증 관리율은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 30세 이상 고혈압 유병률은 2007년 24.5%에서 2016년 29.1%로 올랐고 고콜레스테롤혈증 역시 10.7%에서 19.9%로 증가했다.
만성질환 진료비는 2016년 44조7000억원으로 국내 전체 진료비의 84.2%를 차지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