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여성 내장지방 높으면 우울해져…남성은 연관성 발견안돼"
입력 2018-12-20 07:52 

여성의 경우 내장지방이 많으면 우울감을 느낄 위험이 높아진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성준 교수팀은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대병원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7238명을 대상으로 내장지방 면적과 우울 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먼저 대상자들의 복부 지방 면적을 확인할 수 있는 컴퓨터단층촬영(CT)과 우울증을 진단하는 벡 우울척도 검사(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시행했다.
벡 우울척도 검사 결과 16점 이상을 기록한 경우 '임상적 우울군', 그렇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으로 분류했다. 남성 4945명 가운데는 171명, 여성 2131명 가운데는 162명이 임상적 우울군에 포함됐다.

이후 두 그룹의 복부 지방 면적을 비교한 결과 여성에서 장기 사이에 있는 내장지방 비율에 따라 우울군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에 따르면 여성의 경우 내장지방이 1㎠ 늘어날 때마다 우울군에 들어갈 확률이 1.006배 증가했다.
또 복부 지방 가운데 내장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1% 증가할 때마다 우울군에 속할 확률이 1.028배 증가했다.
반면 남성은 내장지방과 우울 위험 사이에 뚜렷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