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후분양제 1호 택지인 파주 운정신도시 입찰 경쟁률이 392대1을 기록했다. 지난해와 올해 2년간 공급된 공동주택용지 경쟁률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14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파주 운정신도시 공동주택용지 A13블록 1개 필지 공급 입찰이 392대1의 경쟁률로 1순위에서 마감됐다고 밝혔다. 용적률 190%를 적용해 최고 25층까지 건축 가능한 이 필지에는 중소평 평형 중심으로 총 1778가구가 들어선다. 택지 가격 1745억원에 추첨 방식으로 공급됐다. 이 용지는 후분양제 1호 택지여서 입찰 전부터 화제가 됐다. 건축 공정률이 60%에 도달한 후에 입주자를 모집하는 업체에 1순위 자격이 주어졌다.
이번에 기록한 경쟁률 392대1은 지난해와 올해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 이번 건을 제외하고는 올해 3월 말 공급한 시흥장현 C-3블록이 경쟁률 246대1로 가장 인기가 있었다. 이는 2016년 8월 시행된 LH의 '공동주택용지 청약 과열 완화 방안'이 시행된 이후 처음으로 200대1의 경쟁률을 넘은 용지였다.
한때 건설사들을 '부도' 위기까지 몰고 갔던 파주 운정신도시 땅에 후끈한 입찰 경쟁이 일어난 데는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올해 정부가 공급한 공동주택용지가 크게 줄어든 게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2016년에 약 460만㎡의 122개 필지가 공급됐고, 작년에 약 361만㎡의 101개 필지가 공급된 반면 올해는 10월까지 약 227만㎡의 56개 필지만이 시장에 나왔다. 지난해와 비교해 60%에도 미치지 못했다. 지역적으로 수도권 광역급행열차(GTX-A) 추진과 남북 훈풍 분위기를 탄 점도 매력도를 끌어올렸다. 무엇보다 '후분양제' 활성화에 나선 정부가 1호 택지에 인센티브를 파격적으로 내걸었다. 정부의 기금 대출 및 소비자금융 지원, 후분양 대출보증 개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저금리 후분양 PF대출 도입 등이다. LH 관계자는 "중소업체 참여가 늘어 높은 경쟁률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건설업계에서 LH의 첫 번째 후분양 우선순위 토지가 성공적으로 공급되면서 정부가 추진 중인 후분양제도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본다. 그러면서도 장기적으로 후분양제 정착에 대해서는 의문이 여전하다. 손재영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전국적 단위로 봤을 때 정부가 모든 공급 물량을 보조해주기에는 재원이 턱없이 부족하므로 후분양제가 장기적으로 정착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박윤예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번에 기록한 경쟁률 392대1은 지난해와 올해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 이번 건을 제외하고는 올해 3월 말 공급한 시흥장현 C-3블록이 경쟁률 246대1로 가장 인기가 있었다. 이는 2016년 8월 시행된 LH의 '공동주택용지 청약 과열 완화 방안'이 시행된 이후 처음으로 200대1의 경쟁률을 넘은 용지였다.
한때 건설사들을 '부도' 위기까지 몰고 갔던 파주 운정신도시 땅에 후끈한 입찰 경쟁이 일어난 데는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올해 정부가 공급한 공동주택용지가 크게 줄어든 게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2016년에 약 460만㎡의 122개 필지가 공급됐고, 작년에 약 361만㎡의 101개 필지가 공급된 반면 올해는 10월까지 약 227만㎡의 56개 필지만이 시장에 나왔다. 지난해와 비교해 60%에도 미치지 못했다. 지역적으로 수도권 광역급행열차(GTX-A) 추진과 남북 훈풍 분위기를 탄 점도 매력도를 끌어올렸다. 무엇보다 '후분양제' 활성화에 나선 정부가 1호 택지에 인센티브를 파격적으로 내걸었다. 정부의 기금 대출 및 소비자금융 지원, 후분양 대출보증 개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저금리 후분양 PF대출 도입 등이다. LH 관계자는 "중소업체 참여가 늘어 높은 경쟁률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건설업계에서 LH의 첫 번째 후분양 우선순위 토지가 성공적으로 공급되면서 정부가 추진 중인 후분양제도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본다. 그러면서도 장기적으로 후분양제 정착에 대해서는 의문이 여전하다. 손재영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전국적 단위로 봤을 때 정부가 모든 공급 물량을 보조해주기에는 재원이 턱없이 부족하므로 후분양제가 장기적으로 정착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박윤예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