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안준철 기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롯데 자이언츠 감독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말이 바로 ‘독(毒)이 든 성배(聖杯)다. 그만큼 영광스러운 자리이기도 하지만, 언제 목숨이 끝날지 알 수 없다는 의미에서 나온 말이다.
하지만 이는 정확치 않다.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은 논외로 하더라도 롯데 감독은 분명 아니다. 굳이 따지자면 독이 든 ‘성배보다는 ‘무덤이 더 맞는 표현인 것 같다. 영광은 없고, 야구 지도자로서 생명이 끊기기 때문이다.
롯데가 19일 새로운 사령탑을 선임했다. 18일 LG트윈스 단장에서 사퇴가 결정된 양상문 감독이다. ‘공교롭게도(롯데 구단에서 매우 강조했다) 양상문 단장이 사퇴한다고 19일 오전 11시15분 LG측이 보도자료를 뿌린지 15분 뒤인 11시30분에 롯데는 감독 선임을 발표했다. 최대 하루만에, 적어도 반나절만에 신속하게 새로운 감독 영입을 결정한 것이다.
어쨌든 양상문 감독은 롯데 18대 사령탑으로 부임하게 됐다. 18대 감독이지만, 이미 11대 감독을 역임했다. 양상문 감독은 롯데의 암흑기가 한창이던 2004~2005년 사령탑을 맡아 이대호 강민호(현 삼성) 장원준(현 두산) 등 젊은 선수들을 기용, 리빌딩에 초석을 놨던 감독이었다. LG사령탑 시절에는 2014, 2016시즌 팀을 포스트시즌에 진출시켰다. 두 번 모두 각각 준플레이오프, 와일드카드결정전부터 시작해 플레이오프까지 올라갔지만, 한국시리즈 진출에는 실패했다. 롯데는 팀을 잘 알고, 감독과 단장, 해설위원으로 다양한 경험을 갖춘 양상문 감독의 지도력과 함께 1992년 이후 한국시리즈 우승을 다시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양 감독을 선임하면서 조원우 감독은 계약기간 2년을 남기고 경질됐다. 지난해 팀을 3위로 이끌고, 5년 만에 포스트시즌 진출이라는 미션을 성공시킨 뒤, 3년 재계약했지만 1년 만에 다시 옷을 벗게 됐다. 계약기간 2년에 대한 잔여 연봉은 보전된다. 구단에 의한 경질이기 때문이다. 롯데 구단도 고민스러운 결정이었지만, 변화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조원우 감독의 경질과 양상문 감독의 선임은 익숙한 그림이다. 롯데는 3년전인 2015시즌이 끝난 뒤에도 이종운 감독을 1년 만에 경질하고 조원우 감독을 선임했다. 이종운 감독도 2014시즌이 종료된 뒤 자진사퇴한 김시진 감독에 이어 3년 계약으로 사령탑에 올랐지만, 1년만에 옷을 벗었다. 2년에 대한 잔여연봉은 모두 지급받고, 현재 SK와이번스 퓨처스 총괄코치로 있다.
2010년 이후 롯데는 이런 식으로 감독교체가 잦았다. 계약기간을 채운 감독이 별로 없다. 2008시즌을 앞두고 계약기간 2년에 롯데에 부임했던 제리 로이스터 감독은 2008시즌 암흑기를 끊어낸 뒤, 2010시즌을 앞두고 1년짜리 재계약에 성공했지만, 2010시즌 이후에는 다시 계약연장을 하지 못했다. 계약기간을 채운 감독으로 분류는 할 수 있다. 이후 부임한 양승호 감독은 3년 계약 중 2년 연속 팀을 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고 물러났다. 2013시즌 부임한 김시진 감독도 3년 계약이었지만 2년 만인 2014시즌 이후 물러났다. 이렇게 양상문 감독이 2010년대 6번째 감독이다.
앞서 언급했지만 양상문 감독은 롯데 감독만 두 차례 하게 됐다. 이는 강병철 감독 이후 처음으로 한 사람이 롯데 감독을 두 차례 이상 맡는 사례로 남게 됐다. 강병철 감독은 롯데 감독만 세 번 했다. 1983시즌 감독대행을 거쳐 1984년 2대 감독으로 부임해, 그 해 팀을 한국시리즈 첫 우승으로 이끈 뒤 1986년까지 감독직을 지켰지만, 재계약에는 실패했다. 이후 1991시즌을 앞두고 다시 롯데에 부임(6대 감독), 1992년 롯데를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다. 롯데의 가장 마지막 한국시리즈 우승이다. 프로원년부터 올 시즌까지 두 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이 모두 강병철 감독 시절에 나왔다. 강 감독은 2006~2007시즌 12대 감독으로 부임했지만, 2년 연속 팀 성적은 7위에 그쳤다. 강 감독은 롯데 감독 이외 구단은 한화와 SK초대 감독을 역임하기도 했다.
강 감독과 양 감독을 제외하고, 롯데 감독을 거쳐 타구단 사령탑으로 오른 경우는 박영길 감독과 김용희 감독이 있다. 롯데 초대 감독인 박영길 감독은 이후 삼성과 태평양 사령탑에 올랐다. 김용희 감독은 1994년 7대 감독으로 부임해 1995년 롯데를 한국시리즈 진출(준우승)시켰고, 이후 삼성 감독에 올랐고, 2015~2016시즌에는 SK감독을 역임했다.
하지만 나머지 11명의 감독들은 롯데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감독을 하지 못했거나, 못하고 있다. 3대 성기영, 4대 어우홍, 5대 김진영 감독 모두 롯데 감독직 이후 지도자를 은퇴했다. 8대 김명성 감독은 2001년 시즌 중 작고했다. 9대 우용득, 10대 백인천 감독도 롯데 감독이 자신의 지도자 커리어에서 마지막을 장식했다. 로이스터 감독도 미국으로 돌아갔지만, 감독이 아닌 코치(보스턴 레드삭스)로 현장에서 일했다. 양승호, 김시진 감독도 감독직을 더 이상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공교롭지만 롯데에서 감독 커리어를 끝내는 경우도 많고, 계약기간을 제대로 지킨 감독도 적다. 감독의 무덤이자, 파리목숨인 롯데 사령탑인 것이다. 이를 통해 롯데는 감독의 책임이 더욱 크고 무거운 자리라고 할 수 있다. 프런트 쪽에 권력의 무게가 더 기울어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다만 감독이 숱하게 바뀌는 가운데 프런트는 그대로라는 점은 짚어봐야 할 부분이다. 롯무원(롯데+공무원)이라고 불리는 인사들 말이다. 가장 오래된 역사 속에서도 강팀보다는 약팀 이미지가 강한 롯데가 왜 가장 오랫동안 우승과 거리가 먼 팀이 됐는지, 단순히 감독 탓으로 돌릴 수 있느냐 따져봐야 한다.
잘못된 퍼즐 조각을 주고 퍼즐 맞추기를 하라고 하면 제대로 된 그림을 만들 수 없다. 롯데 프런트와 숱하게 잘려 나간 감독들의 관계가 그렇다. 문제의 본질을 따져야 한다. 왜 롯데가 감독들의 무덤이 됐는지 말이다.
jcan1231@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하지만 이는 정확치 않다.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은 논외로 하더라도 롯데 감독은 분명 아니다. 굳이 따지자면 독이 든 ‘성배보다는 ‘무덤이 더 맞는 표현인 것 같다. 영광은 없고, 야구 지도자로서 생명이 끊기기 때문이다.
롯데가 19일 새로운 사령탑을 선임했다. 18일 LG트윈스 단장에서 사퇴가 결정된 양상문 감독이다. ‘공교롭게도(롯데 구단에서 매우 강조했다) 양상문 단장이 사퇴한다고 19일 오전 11시15분 LG측이 보도자료를 뿌린지 15분 뒤인 11시30분에 롯데는 감독 선임을 발표했다. 최대 하루만에, 적어도 반나절만에 신속하게 새로운 감독 영입을 결정한 것이다.
어쨌든 양상문 감독은 롯데 18대 사령탑으로 부임하게 됐다. 18대 감독이지만, 이미 11대 감독을 역임했다. 양상문 감독은 롯데의 암흑기가 한창이던 2004~2005년 사령탑을 맡아 이대호 강민호(현 삼성) 장원준(현 두산) 등 젊은 선수들을 기용, 리빌딩에 초석을 놨던 감독이었다. LG사령탑 시절에는 2014, 2016시즌 팀을 포스트시즌에 진출시켰다. 두 번 모두 각각 준플레이오프, 와일드카드결정전부터 시작해 플레이오프까지 올라갔지만, 한국시리즈 진출에는 실패했다. 롯데는 팀을 잘 알고, 감독과 단장, 해설위원으로 다양한 경험을 갖춘 양상문 감독의 지도력과 함께 1992년 이후 한국시리즈 우승을 다시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양 감독을 선임하면서 조원우 감독은 계약기간 2년을 남기고 경질됐다. 지난해 팀을 3위로 이끌고, 5년 만에 포스트시즌 진출이라는 미션을 성공시킨 뒤, 3년 재계약했지만 1년 만에 다시 옷을 벗게 됐다. 계약기간 2년에 대한 잔여 연봉은 보전된다. 구단에 의한 경질이기 때문이다. 롯데 구단도 고민스러운 결정이었지만, 변화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조원우 감독의 경질과 양상문 감독의 선임은 익숙한 그림이다. 롯데는 3년전인 2015시즌이 끝난 뒤에도 이종운 감독을 1년 만에 경질하고 조원우 감독을 선임했다. 이종운 감독도 2014시즌이 종료된 뒤 자진사퇴한 김시진 감독에 이어 3년 계약으로 사령탑에 올랐지만, 1년만에 옷을 벗었다. 2년에 대한 잔여연봉은 모두 지급받고, 현재 SK와이번스 퓨처스 총괄코치로 있다.
2010년 이후 롯데는 이런 식으로 감독교체가 잦았다. 계약기간을 채운 감독이 별로 없다. 2008시즌을 앞두고 계약기간 2년에 롯데에 부임했던 제리 로이스터 감독은 2008시즌 암흑기를 끊어낸 뒤, 2010시즌을 앞두고 1년짜리 재계약에 성공했지만, 2010시즌 이후에는 다시 계약연장을 하지 못했다. 계약기간을 채운 감독으로 분류는 할 수 있다. 이후 부임한 양승호 감독은 3년 계약 중 2년 연속 팀을 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고 물러났다. 2013시즌 부임한 김시진 감독도 3년 계약이었지만 2년 만인 2014시즌 이후 물러났다. 이렇게 양상문 감독이 2010년대 6번째 감독이다.
앞서 언급했지만 양상문 감독은 롯데 감독만 두 차례 하게 됐다. 이는 강병철 감독 이후 처음으로 한 사람이 롯데 감독을 두 차례 이상 맡는 사례로 남게 됐다. 강병철 감독은 롯데 감독만 세 번 했다. 1983시즌 감독대행을 거쳐 1984년 2대 감독으로 부임해, 그 해 팀을 한국시리즈 첫 우승으로 이끈 뒤 1986년까지 감독직을 지켰지만, 재계약에는 실패했다. 이후 1991시즌을 앞두고 다시 롯데에 부임(6대 감독), 1992년 롯데를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다. 롯데의 가장 마지막 한국시리즈 우승이다. 프로원년부터 올 시즌까지 두 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이 모두 강병철 감독 시절에 나왔다. 강 감독은 2006~2007시즌 12대 감독으로 부임했지만, 2년 연속 팀 성적은 7위에 그쳤다. 강 감독은 롯데 감독 이외 구단은 한화와 SK초대 감독을 역임하기도 했다.
강 감독과 양 감독을 제외하고, 롯데 감독을 거쳐 타구단 사령탑으로 오른 경우는 박영길 감독과 김용희 감독이 있다. 롯데 초대 감독인 박영길 감독은 이후 삼성과 태평양 사령탑에 올랐다. 김용희 감독은 1994년 7대 감독으로 부임해 1995년 롯데를 한국시리즈 진출(준우승)시켰고, 이후 삼성 감독에 올랐고, 2015~2016시즌에는 SK감독을 역임했다.
하지만 나머지 11명의 감독들은 롯데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감독을 하지 못했거나, 못하고 있다. 3대 성기영, 4대 어우홍, 5대 김진영 감독 모두 롯데 감독직 이후 지도자를 은퇴했다. 8대 김명성 감독은 2001년 시즌 중 작고했다. 9대 우용득, 10대 백인천 감독도 롯데 감독이 자신의 지도자 커리어에서 마지막을 장식했다. 로이스터 감독도 미국으로 돌아갔지만, 감독이 아닌 코치(보스턴 레드삭스)로 현장에서 일했다. 양승호, 김시진 감독도 감독직을 더 이상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공교롭지만 롯데에서 감독 커리어를 끝내는 경우도 많고, 계약기간을 제대로 지킨 감독도 적다. 감독의 무덤이자, 파리목숨인 롯데 사령탑인 것이다. 이를 통해 롯데는 감독의 책임이 더욱 크고 무거운 자리라고 할 수 있다. 프런트 쪽에 권력의 무게가 더 기울어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다만 감독이 숱하게 바뀌는 가운데 프런트는 그대로라는 점은 짚어봐야 할 부분이다. 롯무원(롯데+공무원)이라고 불리는 인사들 말이다. 가장 오래된 역사 속에서도 강팀보다는 약팀 이미지가 강한 롯데가 왜 가장 오랫동안 우승과 거리가 먼 팀이 됐는지, 단순히 감독 탓으로 돌릴 수 있느냐 따져봐야 한다.
잘못된 퍼즐 조각을 주고 퍼즐 맞추기를 하라고 하면 제대로 된 그림을 만들 수 없다. 롯데 프런트와 숱하게 잘려 나간 감독들의 관계가 그렇다. 문제의 본질을 따져야 한다. 왜 롯데가 감독들의 무덤이 됐는지 말이다.
jcan1231@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