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로 기대하지도 않고, 염두에 두고 있지 않습니다."
노벨평화상 수상자가 발표된 어제(5일), 여론의 이목은 온종일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의 움직임에 집중됐습니다.
올해 들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 논의가 급진전하면서 문 대통령이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상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흘러나왔기 때문입니다.
특히 해외 베팅정보사이트에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을 유력한 후보로 꼽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노르웨이 현지에서도 문 대통령이 후보군에 포함됐으리라는 보도가 나오며 국내 취재진의 시선도 문 대통령의 수상 여부에 고정됐습니다.
하지만 주변에서 기대감이 번졌던 것과 달리, 정작 청와대는 시종일관 무덤덤한 표정을 바꾸지 않았습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그저께(4일) 기자들을 만나 "(청와대 참모진은) 노벨상에 대해서는 아무 생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기자들이 '노벨위원회에 문의라도 해보면 어떻겠나'라고 제안하자, 이 관계자는 "후보 포함 여부도 완전히 비밀이라던데"라고만 답하는 등 굳이 문의할 필요를 못 느끼겠다는 듯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어제(5일)도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문재인 정부는 노벨평화상에 대해 별로 기대도 하지 않고 이에 대해 염두에 둔 것도 없다"고 주변의 기대 섞인 관측과 거리를 뒀습니다.
이 관계자는 "후보추천 만료일이 올해 1월 31일이었고, 남북정상회담 등 평화 프로세스가 본격화한 것은 그 이후"라며 후보 포함 가능성도 작다고 설명했습니다.
물론 일부 관계자들은 "혹시 모른다"며 조용히 노벨위원회의 발표를 기다리기는 했지만, 이들 역시 수상 가능성을 입 밖에 내지는 않았습니다.
결국 어제 오후 6시 콩고 성폭력 피해 여성을 도운 의사 드니 무퀘게와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의 성폭력 만행을 고발한 나디아 무라드가 수상자로 발표된 후에도 청와대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은 채 평소처럼 업무에 임했습니다.
이런 차분한 반응에는 노벨상과 무관하게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청와대 내부의 공감대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문 대통령은 앞서 4·27 남북정상회담 직후 노벨상 수상 가능성이 거론되자 "노벨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타고, 우리는 평화만 가져오면 된다"고 공개적으로 발언, 수상에 구애받지 않겠다고 천명한 바 있습니다.
청와대의 이런 담담한 모습과는 별개로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내년에는 유력한 노벨평화상 후보로 이름을 올릴 수 있으리라는 얘기가 벌써 흘러나옵니다.
특히 문 대통령이 목표로 삼고 있는 연내 종전선언이 이뤄질 경우, 세계인들의 시선은 다시 한번 문 대통령과 노벨위원회에 쏠릴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아울러 문 대통령 입장에서도 종전선언 등 구체적인 성과를 거둔 뒤 김 위원장이나 트럼프 대통령과 공동수상을 하는 게 한층 의미 있는 일이라는 분석도 일부에서 제기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