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황석조 기자] 정운찬 KBO(한국야구위원회) 총재의 긴급 기자간담회는 기대보다 실망감만 안겼다. 사태를 주도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KBO의 현실만 더 부각되고 말았다.
정 총재가 공식적인 사과의 시간을 마련한다 알려지자 어떤 이들은 획기적인 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예상을 했다. 이미 수차례 사과나 유감을 표명할 시기를 놓친 정 총재가 신인드래프트 현장서 일종의 예고(?)까지 하자 장고 끝 결단이 마무리됐음을 알리는 듯 했기 때문. 12일 정 총재 기자간담회는 수많은 취재진이 자리하며 사회적 도마에 오른 프로야구계의 아시안게임 후폭풍, 그 결말을 주의 깊게 지켜봤다.
하지만 결과는 실망 그 자체였다. 정 총재는 준비해온 사과문 형식 글을 막힘없이 읽었지만 이후 진행된 질의응답 때는 부자연스러웠고 준비가 덜 된 인상을 남겼다. 사과문 역시 엄청난 미사여구가 포함돼 그럴 듯 해보였지만 막상 알맹이는 없었다. 아마야구와 상생하고, 이들과 함께 협의회를 구성한다는 것 외에는 구체적인 시행조치가 없었다. 이번 사태의 핵심인 아시안게임 병역면탈 도구화 전락에 대해서도 국민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인정은 했지만 그 이상의 무엇은 없었다. 오히려 정부방침을 따르겠다”, 병역은 국민의 4대 의무다” 등의 현실과는 동 떨어진 이야기만 반복했을 뿐이다.
뿐만 아니었다. 사견임을 전제했지만 프로 구단 1명씩 (대회에) 차출하는 게 맞다고 별안간 배분을 강조했는데 이번 사태를 키웠다고 의심 받는 그 구단별 안배와 배분에 대한 인식이 뒤떨어짐을 자인해버린 셈이 됐다.
그 외에도 경찰야구단 폐지, 신규외인선수 몸값 상한선제도 등에 있어서도 소극적이고 구체적이지 못했다. 요청이 오면 요청을 할 생각(경찰야구단 문제), 좋은 국내선수들에게 줄 비용이 줄어든다(외인몸값 제한) 등 국민들이 생각하는 근원적 질문과는 정반대의 대처와 인식을 보여줬다.
오히려 정 총재는 관중감소 지적에 자료를 준비해와 4년 전에 비해 크게 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뉘앙스만 강하게 풍겼다. 잘했다고 주장하는 게 아니라고 전제했지만 듣는 팬들 입장에서는 4년전과 기준이 다르고 상황이 다른데 충분히 오해의 소지가 있는 내용만 발표해버린 것이다. 앞서 간담회 내내 이와 같은 패턴이 반복됐기에 이는 오해를 넘어 사실로 굳어지기 다분했다.
이번 사태의 핵심, 그리고 KBO를 향한 비판적 시각의 이유는 스스로 자정능력을 선보일 수 있느냐 여부다. 프로야구계가 촉발시킨 이번 사회적 문제에 대해 야구계가 먼저 나서 고치고 변화하고 준비하는 시늉이라도 보여줄 수 있는 지 여부다.
그러나 12일 정 총재의 기자간담회에서는 이러한 것이 실종됐다. 지켜보고, 기다리고, 요청하고, 부인하고. 모든 사안에 대해 한발 뒤로 물러선 채 상황이 주시하겠다는 것 이상이 나오지 않았다. 그만큼 KBO가 가진 힘이 적고 영향력이 없구나라는 인식을 줄 만 했다. 시각에 따라서는 상황이 무마될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의도로 읽혀지기 충분한 내용이었다.
hhssjj27@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 총재가 공식적인 사과의 시간을 마련한다 알려지자 어떤 이들은 획기적인 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예상을 했다. 이미 수차례 사과나 유감을 표명할 시기를 놓친 정 총재가 신인드래프트 현장서 일종의 예고(?)까지 하자 장고 끝 결단이 마무리됐음을 알리는 듯 했기 때문. 12일 정 총재 기자간담회는 수많은 취재진이 자리하며 사회적 도마에 오른 프로야구계의 아시안게임 후폭풍, 그 결말을 주의 깊게 지켜봤다.
하지만 결과는 실망 그 자체였다. 정 총재는 준비해온 사과문 형식 글을 막힘없이 읽었지만 이후 진행된 질의응답 때는 부자연스러웠고 준비가 덜 된 인상을 남겼다. 사과문 역시 엄청난 미사여구가 포함돼 그럴 듯 해보였지만 막상 알맹이는 없었다. 아마야구와 상생하고, 이들과 함께 협의회를 구성한다는 것 외에는 구체적인 시행조치가 없었다. 이번 사태의 핵심인 아시안게임 병역면탈 도구화 전락에 대해서도 국민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인정은 했지만 그 이상의 무엇은 없었다. 오히려 정부방침을 따르겠다”, 병역은 국민의 4대 의무다” 등의 현실과는 동 떨어진 이야기만 반복했을 뿐이다.
뿐만 아니었다. 사견임을 전제했지만 프로 구단 1명씩 (대회에) 차출하는 게 맞다고 별안간 배분을 강조했는데 이번 사태를 키웠다고 의심 받는 그 구단별 안배와 배분에 대한 인식이 뒤떨어짐을 자인해버린 셈이 됐다.
그 외에도 경찰야구단 폐지, 신규외인선수 몸값 상한선제도 등에 있어서도 소극적이고 구체적이지 못했다. 요청이 오면 요청을 할 생각(경찰야구단 문제), 좋은 국내선수들에게 줄 비용이 줄어든다(외인몸값 제한) 등 국민들이 생각하는 근원적 질문과는 정반대의 대처와 인식을 보여줬다.
오히려 정 총재는 관중감소 지적에 자료를 준비해와 4년 전에 비해 크게 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뉘앙스만 강하게 풍겼다. 잘했다고 주장하는 게 아니라고 전제했지만 듣는 팬들 입장에서는 4년전과 기준이 다르고 상황이 다른데 충분히 오해의 소지가 있는 내용만 발표해버린 것이다. 앞서 간담회 내내 이와 같은 패턴이 반복됐기에 이는 오해를 넘어 사실로 굳어지기 다분했다.
이번 사태의 핵심, 그리고 KBO를 향한 비판적 시각의 이유는 스스로 자정능력을 선보일 수 있느냐 여부다. 프로야구계가 촉발시킨 이번 사회적 문제에 대해 야구계가 먼저 나서 고치고 변화하고 준비하는 시늉이라도 보여줄 수 있는 지 여부다.
그러나 12일 정 총재의 기자간담회에서는 이러한 것이 실종됐다. 지켜보고, 기다리고, 요청하고, 부인하고. 모든 사안에 대해 한발 뒤로 물러선 채 상황이 주시하겠다는 것 이상이 나오지 않았다. 그만큼 KBO가 가진 힘이 적고 영향력이 없구나라는 인식을 줄 만 했다. 시각에 따라서는 상황이 무마될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의도로 읽혀지기 충분한 내용이었다.
hhssjj27@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