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중앙·권역·1차 심뇌혈관 질환센터 구축한다
입력 2018-09-04 14:23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에 대한 국가 차원의 종합 관리 방안이 실행된다. 기존 권역별 심뇌혈관 질환센터 병원을 늘리는가 하면 지방 50여 개 병원을 1차 관리센터로 지정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4일 보건복지부는 심뇌혈관질환관리위원회를 열어 제1차 심뇌혈관 질환관리 종합 계획안(2018~2022년)을 확정 발표했다.
이번 안은 심뇌혈관 질환 분야 최초의 법정 계획으로 심뇌혈관 질환뿐 아니라 고혈압, 당뇨 등 선행 질환까지 전(全)주기적으로 관리한다. 국내 사망 원인 가운데 1위인 암을 제외하면 2위와 3위가 각각 심장 질환과 뇌혈관 질환이다. 둘을 합친 심뇌혈관 질환은 전체 사망원인의 24.3%를 차지한다. 여기에 연간 9조6000억원의 진료비와 사회경제적 비용으로 총 16조7000억원가량이 투입되고 있다.
복지부는 일단 심뇌혈관 질환 위험요인과 예방수칙, 증상, 대처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을 강화하기 위해 오는 2020년부터 심뇌혈관 질환 정보를 한데 망라한 종합 포털사이트를 운영할 계획이다.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의 고위험군 선별기준과 선별도구·관리지침도 내년부터 개발·보급한다. 특히 동네의원을 중심으로 고혈압이나 당뇨병 환자에 대한 등록·상담·교육이 이뤄지는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계획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중앙-권역-1차로 이어지는 심뇌혈관 질환센터 구축 방안이다. 일단 현재 전국 11곳에서 운영 중인 권역심뇌혈관 질환센터를 확충해 14곳으로 늘릴 예정이다. 현행 11곳은 분당서울대병원과 인하대병원, 강원대병원, 충북대병원, 충남대병원, 원광대부속병원, 전남대병원, 경북대병원, 경상대병원, 동아대병원, 제주대병원이며 여기에 목포중앙병원과 안동병원, 울산대병원 등 3곳이 추가로 지정·운영된다. 이들 병원은 심뇌혈관 질환자에 대한 신속한 전문·집중치료를 위해 365일 24시간 당직 체제로 운영되며 입·퇴원환자 교육과 지역사회 예방관리 교육도 실시한다.

국가 심뇌혈관 질환관리 사업의 구심적 역할과 기술 지원을 위한 중앙심뇌혈관 질환센터도 내년 중 지정될 예정이다. 권역 센터에 당장 내원하기 어려운 환자들을 위해 전국 50여 곳 지방병원을 1차심뇌혈관 질환센터로 지정·운영하는 방안도 실시된다. 이에 대해 복지부 측은 "긴급한 환자가 권역 센터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 경우 1차 센터에서 곧바로 집중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재활 치료에도 주목한다. 복지부는 급성기 치료를 마치고 퇴원한 환자가 기능을 원활히 회복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 재활서비스 제공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2020년부터 심뇌혈관 질환에 대한 장·단기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국가 단위 통계도 산출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이번 계획에 따라 급성심근경색의 증상 인지율을 2017년 기준 45.5%에서 2022년 55%로 높이고 치명률(입원 30일 이내 사망률)도 같은 기간 8.1%에서 7.5%까지 낮춘다는 계획이다. 40%에 그치는 급성심근경색 조기 재활 시행률은 5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윤태호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이번 대책으로 그간 정책으로 포괄하지 못했던 심뇌혈관 질환자의 치료 이후까지 관리할 수 있게 됐다"며 "중앙-권역-지역센터 안전망, 환자 지속 관리 방안 등 여러 과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조속히 마련·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