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성폭행 피해 로힝야족 여성들의 출산…'또 다른 비극의 시작'
입력 2018-07-06 16:50  | 수정 2018-07-13 17:05


올해 14살인 로힝야족 소녀 A는 지난해 8월 미얀마군의 로힝야족 반군 소탕작전 와중에 군인에게 성폭행을 당했습니다.

천신만고 끝에 가족과 함께 국경을 넘어 방글라데시로 피신한 A는 난민촌에 들어가자마자 대나무로 지은 움막 속에 틀어박혔습니다.

손꼽아 생리를 기다렸지만, 허사였고 성폭행범인 군인의 아이를 가졌다는 사실이 무겁게 다가왔습니다. 주변 사람들이 이 사실을 알게 될까 봐 걱정돼 집 밖으로는 한 발짝도 나가지 못했습니다.

그로부터 10개월이 흘러 태어난 아기는 또 다른 비극의 시작이었습니다.


아기는 10개월 전 당했던 끔찍했던 성폭행의 악몽을 다시 떠올리게 했을 뿐만 아니라 보수적인 이슬람 사회에서 성폭행 자체가 수치로 여겨지고 이교도 남성의 아이를 낳은 것은 '신성모독'으로 치부되기 때문입니다.

전 세계를 경악하게 한 미얀마군의 로힝야족 학살과 '인종청소' 사태가 벌어진 지 10개월이 지나면서, A처럼 당시 성폭행을 당했던 피해자들이 잇따라 아이를 낳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이유로 출산은 이들에게 또 다른 재앙입니다.

비난을 두려워한 일부 여성은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는 낙태를 감행하기도 했고, 움막에서 은밀하게 10개월을 숨어 지내다가 출산 후 아이를 몰래 처리하는 경우도 있을 것으로 난민촌 의료진은 보고 있습니다.

싸구려 낙태약을 이용해 태아를 지운 H 역시 임신 사실이 부끄러워 누구에게도 억울함을 호소하지 못했지만, 진실을 밝히기 위해 더는 침묵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또 성폭행으로 임신한 아이를 출산하면서 여러 차례 결혼 시도가 불발된 A도 AP통신과 인터뷰에서 "정의를 원한다. 그래서 이렇게 인터뷰에 응하는 것"이라며 침묵을 깼습니다.

그는 이어 "몇 시간의 진통 끝에 딸을 낳았다. 너무 예뻤지만 고통스러웠다"며 "아이의 이마에 입을 맞춘 뒤 구호단체 직원에게 넘겼다"고 출산 직후 아이와 이별한 순간을 떠올렸습니다. A 아버지의 요청에 따라 아기는 구호단체에서 데려갔습니다.

국경없는의사회의 성폭력 전문가인 대니얼 카시오는 "많은 아이가 임신 도중 그리고 출산 도중 죽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