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하반기 증시전망①] "코스피 추가 상승 여력 있다…고점 2800선 전망"
입력 2018-05-25 09:36 

[이미지 출처 : 픽사베이]
하반기 코스피가 박스권을 탈출할 것이란 증권가 전망이 이어졌다. 올 상반기 미중 무역전쟁 등 악재로 몸살을 앓았지만, 오히려 저평가 매력을 부각하는 기회가 됐다는 것이다. 또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글로벌 경기 확장 등 대내외 호재도 지수 상승 가능성을 높였다.
◆글로벌 경제 회복…"수요 늘면 수출 국가에 호재"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투자가 제시한 하반기 코스피의 예상 범위는 2350~2800포인트다. 상단을 기준으로 보면 2500선 수준에서 약 10~15% 정도 더 오를 수 있다는 의미다.
신한금융투자는 글로벌 시장의 물가가 상승하고 있다는 데 주목했다. 유가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인플레이션을 야기했고, 선진국의 투자가 증가할 확률이 높아졌다.
윤영교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 또한 "미국 코어 PCE 인플레이션은 지난 하반기부터 상승세가 빨라져 연준 목표치인 2%에 근접했다"며 "수요가 공급을 압도하는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홍춘욱 키움증권 연구원은 "선진국의 생산지수는 한국 수출의 강력한 선행변수"라며 "거리 제약과 '대량 주문' 관행 때문의 한국 수출은 미국 산업생산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선진국의 소비심리가 갑자기 위축될 가능성도 낮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한국의 수출은 지난해 16% 늘어났고, 투자가 확대돼 기업들의 수익 증가가 기대된다. 코스피의 12개월 선행 수익지표(EPS)는 올해 들어 다소 부진했지만, 최근 들어 반등해 앞으로 3~4개월은 증가할 가능성이 높게 평가됐다.
◆남북관계 개선에 새로운 투자 기회 생겨
하나금융투자는 남북관계가 개선돼 증시에 훈풍이 불 것으로 판단했다. 북한은 경제적 고립이 고착화되면 '고난의 행군' 같은 심각한 경기 침체가 재발할 위험이 있다. 이에 생존을 위해 점진적 개방은 필수적이란 의미다. 단기적으로는 건설·철강·전력 등 인프라 투자 산업이 수혜를 입고, 장기적으로는 보건·교육·IT을 중심으로 투자 관심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재만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북한의 주요 인프라 시설은 철도를 제외하면 한국의 4~24% 수준에 불과하다"며 "북한의 시장경제 전환을 진행하면, 낙후된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선행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날밤 미국의 미북회담 취소 발표로 잡음이 발생했지만, 양국이 회담 재개 가능성을 열어놓은 상태라 방향성은 바뀌지 않았다는 의견이 힘을 얻었다.
김영환 KB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소통 채널로 '인터뷰나 트위터'가 아닌 '공개서한'을 택했다"며 "미북 대화가 완전 결렬된 것으로 보긴 어렵다"고 평가했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대북관계 개선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돼도 중장기적으론 북한의 비핵화, 시장개방 시나리오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기업 지배구조 개편 호재…배당 확대로 이어질 것
대내적으로는 기업들의 지배구조 개편이 본격화 됐다는 점이 주목 받았다.
곽현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오너 일가가 기업 경영을 통해 이익을 얻는 것보다 배당을 통해 이익을 가져가는 데 따른 효용이 커지는 구조로 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배 구조 개편이 앞으로 몇 년 후 완전히 완료돼 신흥 증시 수준만큼 배당 성향이 상승하면 한국의 적정 PER(주가수익비율)은 12배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1 대 50의 액면분할을 단행하면서 지배구조 개편의 신호탄이 쐈다. 외국인 투자자 지분률이 50%를 넘자, 개편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공격에 대비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거래가 활발하면 필요할 경우 시장에서 주식을 쉽게 추가 취득할 수 있다.
곽 연구원은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기업이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사업 회사와 지주 회사를 분할하면 종목별 시가총액 분산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며 "이는 한국 증시의 PER을 제고할 수 있는 이슈"라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은 세계 주요 증시 중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에 대한 집중도가 가장 높다"며 "삼성전자가 사업부를 분할할 경우, 적정 PER은 1배 가량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국 이가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