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구본준 LG 부회장 향후 진로는…전통 따라 독립할 듯
입력 2018-05-20 14:02 

LG그룹의 경영권이 구광모 LG전자 B2B사업본부 정보디스플레이(ID) 사업부장(상무)에게 넘어가는 것으로 가닥이 잡힘에 따라 향후 구본준 LG 부회장의 행보에도 관심이 쏠린다.
재계에서는 구본준 회장이 LG그룹 전통에 따라 독립하게 될 것으로 전망한다.
장자가 경영권을 승계하면 다른 형제들은 그룹 경영에서 손을 떼고 퇴진하는 LG가(家)의 전통이 이번에도 지켜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구본준 부회장은 구본무 회장의 4형제 중 셋째다.

LS그룹이나 LIG그룹 등이 이 같은 '장자 승계, 형제 퇴진'의 사례다. 구인회 LG 창업주의 바로 아래 동생인 구철회 명예회장의 자손들은 1999년 LG화재를 만들어 그룹에서 독립시킨 뒤 LIG그룹을 만들었다.
또 여섯 형제 중 넷째인 구태회, 다섯째 구평회, 막내인 구두회 형제는 2003년 계열분리해 LS그룹을 설립했다.
구본무 회장이 부친인 구자경 LG그룹 명예회장으로부터 경영권을 물려받던 1995년에도 LG반도체를 이끌던 구자학 아워홈 회장과 유통사업을 담당하던 구자두 LB인베스트먼트 회장이 계열사 경영에서 손을 뗐다.
구본무 회장의 4형제 중 둘째(구본능 회장)와 넷째(구본식 부회장)도 일찌감치 LCD(액정표시장치) 모듈 등 전자 부품을 생산하는 희성그룹을 설립해 독립했다.
구본준 부회장은 현재 LG그룹 지주사인 ㈜LG의 지분 7.72%를 보유한 2대 주주다. 이 지분을 밑천 삼아 일부 계열사나 사업부문을 분리해 독립할 수 있다.
일각에선 LG상사와 판토스 등 상사 부문, 또는 디스플레이 사업 등이 거론되고 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