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M+초점] 두 가지 의혹을 남긴 ‘전지적 참견 시점’
입력 2018-05-16 18:06 
‘전지적 참견 시점’ 사진=MBC
[MBN스타 신미래 기자] ‘전지적 참견 시점 측이 세월호 피해자 희화화 관련해 조사 발표가 이뤄졌다. 하지만 사건의 쟁점인 두 가지 의혹이 시원하게 풀리지 않아 여전히 의구심을 남긴다.

16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MBC에서는 ‘전지적 참견 시점의 세월호 피해자 희화화 논란에 관련 조사위원회 활동 종결 기자회견이 개최됐다.

현장에는 진상조사위원회의 오세범 변호사, 조능희 위원장(기획편성본부장), 고정주 위원(경영지원국 부국장), 전진수 위원(예능본부 부국장), 오동운 위원(홍보심의국 부장), 이종혁(편성국 부장)이 참석했다.

지난 5일 방송된 MBC 예능 프로그램 ‘전지적 참견 시점 방송분에서 이영자가 어묵 먹방을 하는 모습을 담은 장면을 내보내면서 ‘속보 이영자 어묵 먹다 말고 충격 고백이라는 자막과 함께 세월호 참사 뉴스 보도 화면을 사용해 논란이 됐다.


이에 MBC는 ‘전지적 참견시점의 세월호 사건 뉴스 화면 사용과 관련해 제기된 의혹을 조사하기 위해 외부조사위원인 오세범 변호사(민변 세월호 참사 진상조사특위 위원)까지 동원해 6인의 진상조사위원회 구성한 후 2차 조사까지 끝마쳤다.

이날 진상조사 위원회는 조연출이 조롱하거나 희화화하는 고의성으로 어묵 자막을 했다고 판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조연출의 단순한 과실로 볼 수 없다. 웃음을 전하는 프로그램에서 사회적 참사를 사용했다는 것 방송 윤리를 훼손해 엄중한 처벌을 피할 수 없다”라며 ‘전지적 참견 시점 제작진들이 세월호 참사 보도 장면을 편집 중 피해자들을 희화화할 고의성이 없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조사 결과 조사 발표 직후 두 가지 부분에서 의구심이 풀리지 않았다. 첫 번째는 이 사건의 시발점인 조연출의 일간베스트(이하 ‘일베) 회원인가에 대한 의혹이다. 사실 이 부분이 사건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앞서 말했듯 일베 사이트에서는 세월호 가족들을 모욕하는 발언으로 ‘어묵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전참시의 이번 편집은 다분히 의도적이라는 시선이 쏠렸다.

진상조사위원회 측은 이에 대한 의혹을 풀기 위해 조연출의 진술, 카톡, SNS, 주변 평판 등을 살폈고, 조사 결과 조연출에게는 고의성이 없다고 판단했다는 것. 진상조사위원회에 따르면 조연출은 세월호 유가족을 폄하하는 단어인 어묵 표현을 몰랐다고 주장했다. 이것 또한 이해되지 않는다. 트렌디한 예능 프로그램을 이끄는 방송인으로서 온라인상에서 뜨거운 화제였던 이 논란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놀랍다. 또한 여러 방송에서도 일베가 세월호 피해자들을 폄하한다는 보도도 있었기에 더욱 의아함이 자아낸다.

사실 조연출 본인의 진술과 주변 평판은 주관적이기 때문에 조사에 대해 다소 신뢰가 떨어진다고 느껴진다. 그 중 가장 객관적인 자료가 되는 SNS는 익명으로 만들 수도 있고, 카톡 역시 원하는 메시지를 지울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에 조사위원회 측은 조연출, FD, 미술부 등 총 14명이 속한 카톡 단체방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14명 중 5명의 카톡의 내용을 받아 비교했으나 삭제된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

이와 같은 조사 과정 발표에도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자 진상조사위원회 측은 수사가 아닌 조사였다. 수사라면 심층적으로 가능하지만 조사는 제약이 있다. 본인이 일베라는 증거를 내놓지 않은 이상 이 부분에서 더 깊게 조사를 진행할 수 없다”라며 제한적인 상황 내에서 최선을 다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의구점으로는 10개의 속보 보도 자료 중 세월호 보도 장면을 택한 것에 의아하다는 것이다. FD는 조연출에게 ‘속보입니다 ‘반가운 소식입니다 ‘현장 분위기 알아보겠습니다라는 앵커의 멘트가 들어간 뉴스 보도 장면을 총 200개를 보냈다. 그 중 10개는 ‘속보입니다로 문제의 세월호 참사 보도 장면이 2개가 속해있었다. 10개 중 세월호 보도 화면을 굳이 택해야 했나는 의문에 진상조사위원회 측은 MBC의 뉴스 보도여야 했고, 아나운서의 바스트샷(상체) ‘속보입니다 멘트 등 한정된 기준 내에 자료를 찾아야 했다”고 해명했다.

‘속보와 관련된 마땅한 자료가 없었다면 세월호 참사 보도가 아닌 다른 장면으로 대체할 수도 있었을 터. 이에 대해서는 시청자들의 흥미를 끌기 위해서 만든 연출 때문에 벌어졌다는 것.

또한 CP, 연출자, 작가 등이 참여한 최종 시사에서 해당 장면이 문제될 것임을 알 수 없었던 이유는 총 5초 정도의 분량으로 흐림 처리가 됐기에 어떤 장면인지 알아볼 수 없었다는 것. 결국 제작진의 부주의함이 브라운관을 통해 그대로 전파됐다. 이를 통해 편집의 분업화, 틈새가 있었던 자료 사용 보고 체계, 부주의함 등 MBC 제작 과정의 문제점도 드러났다.

진상조사위원회는 ‘전참시 제작진들이 세월호 희화화한 것에 대해서는 고의성, 의도성이 없다고 판단, 방송인으로서 방송 윤리 책임을 훼손한 것에 대해 조연출, 연출, 부장, 총괄 책임자인 본부장까지 징계 처리를 요구했다.

진상조사위원회는 할 수 있는 것까지는 최선을 다해 조사했다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1%가 부족한 조사로 인한 찜찜함은 남아있다. 신미래 기자 shinmirae93@mkculture.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