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김현수 농식품부 차관 "스마트팜 농가·청년·기업 모두 승자되는 혁신성장 모델될것"
입력 2018-05-13 16:58  | 수정 2018-05-13 19:33
김현수 농축산식품부 차관

작년 우리나라 농가 평균소득은 3824만원으로 전년대비 2.8% 증가했다. 농가 평균자산은 약 5억 원으로 6.7% 늘었다. 하지만 농업용 부채는 무려 11% 감소했다. 농업 분야에서 투자활동이 활발히 이뤄지지 않으면서 미래성장잠재력이 줄고 있는 것이다. 전체 농가 경영주 가운데 나이가 40세 미만인 사람 비중은 현재 약 1%에 불과하고 2025년에는 0.4%까지 추락한다. 기업의 농업 분야 진출이 절실하지만 과거 농민 반발 등으로 사업을 철수한 뒤로는 말도 제대로 못 꺼낸다.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는 회색빛이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과 농업을 접목 시킨 이른 바 '스마트팜(Smart Farm)' 정책을 꺼내기 전까진 말이다. 스마트팜은 한국 농업이 부딪힌 총체적 난관을 단번에 해결할 묘수로 떠오르면서 문재인정부 대표 혁신성장 정책으로 채택됐다.
스마트팜 정책 밑그림을 그린 김현수 농식품부 차관은 13일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생산·교육·기술부터 농지 공급·자금 지원·창업에 이르기까지 첨단 농업을 위한 모든 게 한곳에 모인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2022년까지 전국에 4곳 조성할 계획"이라며 "혁신밸리에 들어온 농가·청년·기업이 모두 시너지를 내면서 농업이 미래 성장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농가 이익에 대해 김현수 차관은 "스마트팜 도입 시 농가 생산량은 30.1% 증가하는 반면, 병해충·질병은 17.3% 감소할 것"이라며 "빅데이터 활용으로 농작업이 자동화·원격화돼 '농업은 고되다'는 말도 사라질 것"이라고 자신했다. 뿐만 아니라 지금은 전국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초기단계 스마트팜을 구축한 농업인들이 혁신밸리로 모이면 신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 할 수 있거나, 회당 100만원의 비용이 드는 스마트팜 컨설팅 혜택도 누릴 수 있다.

직업난을 겪는 청년 입장에서는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신산업이 탄생이나 다름없다고 김 차관은 설명했다. 그는 "ICT 기반이란 특성상 스마트팜은 청년층이 잘 할 수밖에 없다"며 "전기·통신·시스템공학·화학 등 분야 간 융합이 필요하고 경영도 중요하기 때문에 농업 전공자가 아니라도 충분히 도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농가 경영인을 비롯해 컨설턴트, 엔지니어, 소프트웨어 개발자, 스마트팜 설계자 등이 향후 탄생할 직업군으로 꼽힌다. 스마트팜 창업의 가장 큰 걸림돌인 수십억 원에 달하는 초기자본금도 정부가 지원하는 농지 임대 등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김 차관은 스마트팜이야말로 기업과 농업인이 공존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기업이 집중할 분야는 농작물 생산이 아니라 스마트팜의 핵심이자 고부가가치 상품인 센서, 빅데이터, 소프트웨어, 첨단 기자재"라며 "기업은 혁신밸리에서 신기술을 실증 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며, 여기서 축적된 실적을 바탕으로 전 세계에 수출 하는 비즈니스를 함으로써 수익을 얻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차관이 스마트팜을 통해 기대하는 또 한 가지는 한국산 신선농산물의 해외 수출이다. 그는 이것이 "대한민국 농업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라고 말했다. 신선농산물 시장 규모가 커지면 외화소득이 커지는 것 외 농가소득 변동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신선농산물 해외 수출이 잘 되려면 타깃 국가 맞춤형 생산물이 필요하다. 그것도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의 생산물 말이다. 김 차관은 "예를 들어 가장 대형 시장인 일본에는 중소형 크기의 토마토만 수출할 수 있다"며 "현재 기술로는 한계가 있으나 스마트팜이 발전하면 완전히 규격화된 농산물을 생산하는 단계까지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토마토, 딸기, 파프리카 등 3가지 품종도 훨씬 다양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드론·핀테크·자율주행차 같은 타 부처 소관 혁신성장 사업에 비해 각종 규제로부터 자유롭다는 것도 스마트팜이 가지고 있는 큰 장점으로 꼽힌다.
김 차관은 '한국형 스마트팜'을 준비하면서 20여 년 전 우루과이라운드를 떠올렸다. 당시 농식품부는 농산물 시장 개방에 대비해 농민들에게 유리온실을 지어주는 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 정부가 지원한 시설농업(재배환경을 조정하면서 생산하는 농업)의 첫 사례다. 김 차관은 "당시에는 시설만 지원했고 기술은 각자 알아서 해결토록 했다"며 "하지만 2기 시설농업인 스마트팜은 전후방 산업에 걸친 맞춤형 지원을 함으로써, 절반의 성공에 그친 유리온실의 전철을 밟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유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