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글로벌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전체 수출액 대비 정보통신기술(ICT) 품목 수출이 10년 만에 최고 기록을 찍었습니다.
21일 한국은행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ICT 수출액은 1천975억7천만 달러(약 211조 원)였습니다.
전체 산업 수출이 5천736억9천만 달러라는 점을 고려하면 ICT 수출액 비중은 34.4%에 달한 셈입니다.
이는 1년 전인 2016년(32.8%)보다 1.6%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35.0%를 기록한 2007년 이후 최고입니다.
ICT 품목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컴퓨터와 주변 기기, 휴대폰 등을 가리킵니다.
작년 ICT 수출 호조는 글로벌 반도체 호황 덕이 컸습니다.
지난해 세계 반도체시장은 4천122억 달러로 1년 전보다 22% 성장했습니다.
반도체시장은 메모리 반도체(D램, 낸드플래시 등), 비메모리 반도체(컴퓨터 주기억장치 등) 등으로 나뉘는데 지난해엔 한국 기업들이 강한 메모리 반도체(D램, 낸드플래시)가 반도체 호황을 이끌었습니다.
스마트폰, 빅데이터 산업 등의 성장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늘어난 탓입니다.
이 때문에 한국 반도체 수출은 60.2%나 증가한 996억7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수출 단일 품목이 900억 달러를 돌파하기는 작년 반도체가 처음이었습니다.
수출과 수입을 합한 교역에서도 ICT 비중이 확대됐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ICT 교역액은 2천996억4천만 달러였습니다.
전체 교역액(1조521억7천만 달러)의 28.5%를 ICT가 차지했습니다.
교역액 대비 ICT는 2006년(29.0%)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늘어난 반도체 수요에 맞추기 위해 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입이 늘어 ICT 수입도 덩달아 증가한 것입니다.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수출, 교역에서 ICT 비중 확대는 올해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올해 1분기 수출액 대비 ICT 비중은 36.1%로 작년 연간 기준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교역액 중 ICT는 지난해 연간 기록과 비슷한 28.4%였습니다.
한은은 "2016년 하반기 시작한 D램 주도 반도체 호황 국면이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지다가 점진적으로 마무리 될 것"이라며 올해까진 반도체 슈퍼 호황이 계속되리라고 예상했습니다.
일부에서는 반도체 경기가 꺾일 때를 대비해 다른 품목의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메모리 반도체시장에 2∼3년 내로 중국이 본격적으로 진입하면 우리 기업의 수익성 악화, 점유율 하락이 우려된다"며 "그때 반도체 외에 수출, 성장을 이끌 대안은 뚜렷이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산업계는 중국에 시장을 내어줄지, 경쟁을 지속할지 냉철하게 판단해야 한다"며 "정부는 현재 주력산업들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위기를 예방하는 데 초점을 둬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21일 한국은행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ICT 수출액은 1천975억7천만 달러(약 211조 원)였습니다.
전체 산업 수출이 5천736억9천만 달러라는 점을 고려하면 ICT 수출액 비중은 34.4%에 달한 셈입니다.
이는 1년 전인 2016년(32.8%)보다 1.6%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35.0%를 기록한 2007년 이후 최고입니다.
ICT 품목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컴퓨터와 주변 기기, 휴대폰 등을 가리킵니다.
작년 ICT 수출 호조는 글로벌 반도체 호황 덕이 컸습니다.
지난해 세계 반도체시장은 4천122억 달러로 1년 전보다 22% 성장했습니다.
반도체시장은 메모리 반도체(D램, 낸드플래시 등), 비메모리 반도체(컴퓨터 주기억장치 등) 등으로 나뉘는데 지난해엔 한국 기업들이 강한 메모리 반도체(D램, 낸드플래시)가 반도체 호황을 이끌었습니다.
스마트폰, 빅데이터 산업 등의 성장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늘어난 탓입니다.
이 때문에 한국 반도체 수출은 60.2%나 증가한 996억7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수출 단일 품목이 900억 달러를 돌파하기는 작년 반도체가 처음이었습니다.
수출과 수입을 합한 교역에서도 ICT 비중이 확대됐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ICT 교역액은 2천996억4천만 달러였습니다.
전체 교역액(1조521억7천만 달러)의 28.5%를 ICT가 차지했습니다.
교역액 대비 ICT는 2006년(29.0%)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늘어난 반도체 수요에 맞추기 위해 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입이 늘어 ICT 수입도 덩달아 증가한 것입니다.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수출, 교역에서 ICT 비중 확대는 올해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올해 1분기 수출액 대비 ICT 비중은 36.1%로 작년 연간 기준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교역액 중 ICT는 지난해 연간 기록과 비슷한 28.4%였습니다.
한은은 "2016년 하반기 시작한 D램 주도 반도체 호황 국면이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지다가 점진적으로 마무리 될 것"이라며 올해까진 반도체 슈퍼 호황이 계속되리라고 예상했습니다.
일부에서는 반도체 경기가 꺾일 때를 대비해 다른 품목의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메모리 반도체시장에 2∼3년 내로 중국이 본격적으로 진입하면 우리 기업의 수익성 악화, 점유율 하락이 우려된다"며 "그때 반도체 외에 수출, 성장을 이끌 대안은 뚜렷이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산업계는 중국에 시장을 내어줄지, 경쟁을 지속할지 냉철하게 판단해야 한다"며 "정부는 현재 주력산업들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위기를 예방하는 데 초점을 둬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